earticle

논문검색

대한제국기의 대축척 실측도에 관한 사례 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a Large Scale Map Drawn by Survey in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김추윤, 송호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know through reading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the large scale map was made a long time ago in Korea. However, the study of old maps in Korea was mostly concentrated on the small scale map until now, thus now we must be concerned about the study of the large scale map. In this paper. we collected the map made in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During this time, large scale maps were made and us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a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Jeondapdohyung-Do(In this map, some patches of cultivated land were drawn with various figures. These Maps were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large scale map) was first made in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2. After that time, various modern large scale maps made by survey. 3. The scale of these maps varied and were very detailed.

한국어

기록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오래 전부터 대축척지도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고지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대부분 소축척지도에 집중되어 왔다. 고지도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 대축척지도에 대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 되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대축척 실측도가 본격적으로 제작, 사용된 대한제국기의 지도들을 수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다음 3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대한제국기에 근대적인 대축척지도의 기초가 된 전답도형도가 등장하였다. 둘째, 그 이후로 다종다양한 근대적인 대축척 실측도가 제작되었다. 셋째, 각 지도들의 축척이 다양하고 매우 정밀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본론
  1. 전답도형도 - 사표도
  2. 경지배열일람도
  3. 민유임야략도
  4. 국유지실측도
  5. 한성부지적도
  6. 율림기지원도
  7. 산록도
  8. 전원도
  9. 건물원도
  10. 가옥원도
  11. 궁채전도
  12. 관저원도
  13. 광화문외제관아실측평면도
 III.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추윤 Chuyun Kim. 신흥대학 지적부동산정보과 교수
  • 송호열 Hoyul Song. 서원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