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20~30년대 불교계의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원문정보

How Socialism Was Understood by Korean Buddhists in 1920s-1930s

김종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ism came rapidly into Korean society in the 1920s, after the failur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uccess of the socialist revolution in Russia. Korean political leaders and intellectuals were looking for a new vision fo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Imperial Japan, and many of them saw socialism as the most favorable alternative. Socialism influenced Korean society from many aspects, and Korean Buddhists also examined socialism from the socio-political aspect as well as philosophical aspect. Although socialists criticized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as a tool of the exploiting classes, Buddhists saw socialism in favorable manner, believing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thought systems. Buddhists believed that the Buddha denied the cast system and never discriminated against people, and that Buddhist monastic community is a pioneering example of Communism. They, however, held a different view of materialism. They believed that materialism correspond with Buddhist views with regard to the denial of God, but Buddhist philosophy, unlike historical materialism, have a highly developed concept regarding non-duality between the material realm and the mental realm. Most of the writers of the time did not have thorough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materialism. While some of them excessively emphasized the similarity between Socialism and Buddhism -- on the basis of a very simple and rustic understanding of Socialism -- their basic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ought systems seems to concur with the views of modern scholars who are more thorough knowledgeable about both Buddhism and Socialism.

한국어

3.1운동의 실패와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성공 후 사회주의는 한국사회에 빠르게 전파되었다. 사회주의는 여러 측면에서 한국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정치지도자들과 지식인들은 일본제국주의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새로운 전망을 찾고 있었는데, 그들 중 상당수가 사회주의가 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한국불교도들 또한 사회주의의 정치사회적인 측면과 철학적인 측면 모두를 나름대로 검토하였다. 사회주의자들은 종교가 계급적 착취의 도구라고 비판하였으며, 그 비판 대상에는 불교도 포함되었지만, 불교인들은 사회주의에 대해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다. 부처가 카스트 제도를 비판하였으며, 사람들 간에 어떠한 차별도 두지 않았으며, 승단은 공산주의 시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교인들은 유물론에 대해서는 다른 태도를 취했다. 신을 부정한다는 점에서는 유물론이 불교와 일치하지만, 불교는 정신과 물질의 불이론의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물론과는 다르다고 보았다. 당시 사회주의에 대한 글을 쓴 대부분의 불교 저자들은 사회주의와 유물론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이들의 사회주의와 불교에 대한 유사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매우 단순하고 거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불교와 사회주의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가지고 있는 현대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두 사상체계 사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목차

한글요약
 I. 서론
 II. 1920년대 한국사회의 사회주의 수용
 III. 유물론 및 사적 유물론에 대한 불교계의 인식
 IV. 사회주의의 사회사상적 측면에 대한 불교인들의 인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인 Kim Jong-in.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불교총지종 법장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