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新菴 田溶珪의 學問과 思想

원문정보

The Learning and Thought of Shinam Jeon, Yong-Kyu

신암 전용규의 학문과 사상

金載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learning and thought of Sinam Jeon Yong-kyu, a disciple of Ganjae Jeon Woo. The Joseon (now Korea) of Sinam’s day was in a state of gloom and distres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at time may be characterized by one of four different ways of life: armed resistance against Japan, voluntary cooperation for Japanese imperialism, pursuit of a third way (e.g., religion), and passive resistance in seclusion. Jeon Yong-kyu chose to sequester himself but took the path of defending the truth (or way) of Confucianism and nurturing disciples through teaching. This paper is based on Sinam-jip (of two volumes), a collection of Jeon’s works which survives today. Much of the collection was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re is now only about one-tenth of it left. Hence this paper has limits in getting the whole picture of his learning or thought. Nevertheless, the author attempts to reinterpret his life in seclusion, view of learning and ideas of human nature, in search for the traces of his thought left in Sinam-jip. The Learning of Chu Hsi is what he thought of as the way (“dao”) of Confucianism, which implies the thought of his mentor Jeon Woo. In the relationship of nature [性] and mind [心], Neo-Confucian scholar Ganjae adhered to the ideas that nature is a master and mind is a disciple [性師心弟] and that nature is noble and mind is humble[性尊心卑]. This runs counter to the argument of Yi Jin-sang, an adherent of the Yeongnam school at that time, that mind constitutes reason. It is noteworthy that Jeong Yong-kyu adhered to his mentor Gangjae’s argument, though he was within the Yeongnam school’s sphere of influence because he was born in Uiryeong, Gyeongnam. Jeon Yong-kyu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seclusion, anticipating the days that the “wayless (無道)” colonial era would come to an end and the way of Confucianism would revive.

한국어

이 논문은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제자인 신암(新菴) 전용규(田溶珪)의 학문과 사상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전용규가 살던 시대는 조선이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망한 암울한 식민지 시대였다. 당시 유교 지식인들의 처세는 네 가지로 나뉜다. 무장 투쟁 등으로 일제에 저항한 경우, 일제에 적극 협력한 경우, 종교 등 제3의 길을 걸어간 경우, 마지막으로 아예 은둔하여 소극적으로 저항한 경우가 있다. 전용규는 은둔하면서 유교의 진리[道]를 지키고 강학 활동을 통해 제자들을 양성하는 길을 택했다. 이 논문의 내용은 지금 남아 있는 전용규의 문집인 신암집(新菴集上·下)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의 문집은 6·25 한국전쟁 때 다 타버리고 겨우 10분의 1정도만 남아 있다. 따라서 그의 학문이나 사상 전모를 파악하기는 많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신암집에 남아 있는 그의 생각의 흔적을 찾아 망국과 그의 은둔, 그의 학문관과 성리(性理) 사상 등을 재구성하고 있다. 그가 생각한 유교의 도(道)는 주자학(朱子學)이며, 그 주자학 가운데에서도 스승 전우(田愚)의 사상을 의미한다. 성리학자인 간재(艮齋)는 본성[性]과 마음[心]의 관계에 대해 본성이 스승이고 마음은 제자이며[性師心弟], 본성은 존귀하고 마음은 비천하다[性尊心卑]는 입장을 고수한다. 이는 그 당시 영남학파인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마음이 곧 이치[心卽理]라는 학설과 배치된다. 그런데 전용규는 경남 의령 사람으로서 영남학파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승인 간재의 학설을 고수한다. 그러면서 전용규는 식민지라는 무도(無道)한 시기가 끝이 나고 유학의 도가 다시 부흥할 날을 간절히 고대하면서 은둔의 삶을 이어간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亡國과 新菴의 出處
 Ⅲ. 學問에 대한 新菴의 관점
 Ⅳ. 新菴의 性理思想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載京 김재경. 전북대 강의전담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