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장의 인식을 통한 숲속 유아교육의 의미

원문정보

Experience of Direct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rest in South Korea

임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hat you know for forest u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ur country then you should be ready? I'm trying to find the answer. summarizes the resul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dialogue researchers principal4 people who practice the "forest class" or "Day of the forest", the journal of the researcher. Simultaneously with the collec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repeating data collection has been don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3.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arrange the sub-region and a large five categories. First, principal of kindergarten, principal of childcare facilities, trying to find the identity of the use of education through the forest. Second. Cooperation of forest use of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tasks,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rout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 Third. "forest class" early childhood, there is a need that is to be considered for the target. Fourth, the principal, there is a worry and I'm sorry for the teacher. Then, teacher training for the identity of utilization of forest education is required. Finally, because it is outdoor activities, safety of the environment I'm worried about. Time to move on in the forest, such a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insects is required.

한국어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숲속 유아교육을 위해서 무엇을 알아야 하고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찾고자 하였다. 현재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운영하는 ‘숲반’ 숲의 날’을 실천하고 있는 원장 4명과 연구자의 대화내용, 연구자의 저널을 바탕으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3년 1학기에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수집과 동시에 반복하여 이루어졌다.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의 큰 분류와 하위영역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치원, 어린이집의 원장들은 숲속 교육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기관과 숲속 교육 연계는 일과의 운영, 부모와의 관계를 포함한 운영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숲반 유아들, 즉 대상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넷째, 숲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에 대해서 미안함과 걱정, 위에서 밝힌 숲속 교육의 정체성을 위한 교사연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마지막으로 실외 활동이므로 환경과 안전은 빠질 수 없는 화제였다. 숲으로 이동하는 시간, 벌레나 감염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3. 자료의 분석과정
 Ⅲ. 결과 및 해석
  1. 숲속 교육의 정체성
  2. 유아교육기관과 숲속 교육 연계
  3. 숲반 아이들
  4. 교사업무와 연수
  5. 환경과 안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은정 Lim, Eun Jeong. 서울교육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