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held in 2012 the ruling party surprisingly became a majority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though their seven candidates had been in trouble with a controversy over plagiarism. Why did voters support the election victory of the ruling party who deserved to be called ‘the plagiaristic party’ by taking ‘an opposite choice’ of allowing the candidates of the ruling party suspicious of research misconduct to be elected? Why did the most rigorous standard for research ethics in our society suddenly disappear at that moment? This paper aims to start with a theoretical challenge of understanding an operating mechanism of research ethics in a given social system as well as the concept of research ethics, and then to find answers for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through an effort to understand the particularity of application of research ethics into a political arena as an occupation. To do so, this study makes an effort to search obstacles inherent inside political institutions and cultures which hind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search ethics by finding out reasons for the malfunctioning of social monitoring and punishment for violations of research ethics in a specific political event of general elec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ontroversy over some candidates’ plagiaristic behavior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ain reasons for the malfunctioning of social monitoring and punishment for violations of research ethic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could be found not only in voters’ inclination to partisan voting and candidates’ negative campaign strategy commonly focused on malicious slanders and propagandas, but also media’s attitudes that successfully camouflaged such negative campaigns without filtering.
한국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당 소속의 후보자 중 7명이 심각한 논문표절 논란에 휩싸여 고전하는 상황에서도 정부여당이 야당을 누르고 과반의석을 차지하며 원내 제1당으로 등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왜 유권자들은 ‘표절당’이라 불릴만했던 정부여당의 선거 승리를 거들고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가 의심되는 여당 후보자들을 대거 당선시키는 ‘역선택’의 길을 택한 것인가? 그토록 높았던 연구윤리에 대한 우리 사회의 엄정한 잣대는 왜 이 시점에서 꼬리를 감춘 것인가? 본 연구는 연구윤리의 개념과 한 사회체계 안에서의 연구윤리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는 이론적 시도에서부터 시작하여 직업으로서의 정치에 요구되는 연구윤리 적용의 특수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이러한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대 총선에서의 논문표절 논란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총선이라는 정치적 이벤트에서 연구윤리 위반행위에 대한 사회적 검증과 처벌의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될 수 없었던 원인, 즉 연구윤리의 제도화를 가로막는 정치제도와 정치문화에 내재한 장애요소들을 찾고자 노력한다. 연구 결과, 19대 총선 과정에서 연구윤리에 대한 사회적 검증 및 처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데는 19대 총선에서 드러난 지역주의 정서에 기댄 정당투표의 경향과 후보자간 비방과 흑색선전 중심의 네거티브 선거전략이 주효했던 점, 그리고 그러한 네거티브를 여과없이 여론으로 포장해 준 언론매체의 보도태도가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직업으로서의 정치와 연구윤리의 제도화
Ⅲ. 19대 총선에서의 논문표절 의혹과 연구윤리의 문제
Ⅳ. 19대 총선 관련 언론보도 및 유권자 의식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