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training outcomes in a blended STEAM elementary teacher training. For this study, we had collected the data of information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training outcomes(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during and after the training session. The data from 70 teachers who responded to all questionnaires and submitted the final project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literacy predicted training outcomes(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and cognitive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training outcomes(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nformation literacy and cognitive presence were critical factors for enhancing training outcomes in the blended STEAM elementary teacher training. Furthermore, the guidelines and strategies which c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 blended STEAM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연수성과의 준거변인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예측변인으로, 인지실재감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와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2월부터 4월까지 실시된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 과정을 이수한 현직교사 80명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하고, 최종 과제를 제출한 7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인지실재감, 학습만족도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학업성취도는 루브릭을 활용한 수업지도안 평가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연수성과에 대한 정보활용능력의 예측력과 연수성과와 정보활용능력 간의 관계에서 인지실재감의 매개효과는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활용능력은 학업성취도(β = .31)와 학습만족도(β = .52)를 각각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연수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실재감은 정보활용능력과 연수성과(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과정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담당자들에게 학습과정 중 연수생들의 인지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촉진전략을 고안하여 실행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에서 규명된 것이므로, 향후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
2. 연수성과
3. 정보활용능력과 연수성과의 관계
4. 인지실재감과 연수성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상관분석
3. 연수성과에 대한 정보활용능력의 예측력 분석
4. 연수성과에 대한 인지실재감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