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 - 서울·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

원문정보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Hansung Baekje Era settlement and Pottery group

한성백제기 취락과 토기유물군의 변천양상 - 서울·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

한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nalyzed about the five settlements dwelled by the residents from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ill Hansung Baekje era. Those are relics of cooking facilities to have common transformation process which indicates hearth→‘ㄱ’shaped heated floor(‘Cukgudle’)+hearth→‘ㅣ’shaped stove('Buddumak)+hearth→‘ㅣ’ shaped stove(‘Buddumak’), while having common aspects of changes in flat-form dwellings which shows square→pentagon→hexag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appearance of the ‘ㅣ’shaped stove(‘Buddumak’) and the square flat-form dwellings in the phase of Proto Three Kingdoms ⅢPeriod due to region based development already could be verified, and the acceptance of regional dwelling form and pottery group by the settlement of founding group of Hansung Baekje could also be verified. Henceforth the construction technique development in the establishment & advancement of new pottery culture, pillar-wall style construction oriented flat hexagon structure were led by Hansung Baekje era. Specially, based on this study, a beneficial utilization could be verified by the division of period established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of dwelling form in the settlement relics with the appearance of new type of pottery.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era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lics in the event there unearthed few accompanied relics.

한국어

본 고는 한강유역에 산재한 대규모 취락유적 중에서 취사시설과 평면주거양식이 동일한 변천과정을 보이는 유적을 선별하여 유구와 토기유물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취락의 변천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 였다. 대상 유적은 풍납토성, 몽촌토성, 하남 미사리, 남양주 장현, 가평 항사리, 화성 발안리유적 등으 로 이들 유적은 주거지 평면형태가 방형(A)→오각형(B)→육각형(C)으로 변천하고, 취사시설로는 노지 (Ⅰ)→‘ㄱ’자형 쪽구들(Ⅱ)→일자형 부뚜막(Ⅲ)으로의 변화가 간취된다. 따라서 이들 유적의 주거지 평 면형태, 면적(㎡), 장단축비에 대한 분석과 공반 출토되는 토기유물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삼국 Ⅲ 기부터 한성백제기 취락의 변천과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들 유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삼국시대 Ⅲ기를 다시 3기로 세분하였고, 한성백제기는 총 4기로 분 기하였다. 특히 지역 간에 시기차가 날 가능성에 대해 유념하여 분석을 한 결과 분석대상 유적들에서는 취사시설 의 변천과 출토 토기유물군의 변화양상이 동일하게 확인되어 거의 시간차를 반영하지 않고 변화양상 의 동시간성으로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등 중심지 물질문화를 경기지역 거점 취락들이 거의 동일하게 공유하고 있 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이들 지역은 한성백제 중심지간의 직접 영향권 하에 놓여 있었을 가능성 이 높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성백제 건국집단은 원삼국시대 이래로 터전을 잡고 살아온 원주민 집단이 사용하 던 출입구 시설이 돌출된 주거양식과 토기양식을 그대로 계승 발전시켰으며,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 로 동일문화권을 형성해가면서 ‘한성백제문화’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 및 분석방법
  1. 주거지 평면형태
  2. 주거지 취사시설
  3. 토기유물군
 Ⅲ. 각 유적별 양상 분석
  1.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2. 가평 대성리유적
  3. 가평 항사리유적
  4. 남양주 장현유적
  5. 화성 발안리유적
  5. 하남 미사리유적
 Ⅳ. 원삼국~백제 취락의 변천 양상
  1. 주거지의 변천 양상
  2. 토기유물군의 변천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분석대상 유적계측치]

저자정보

  • 한지선 Han, Ji-Sun.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