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소성 형성을 위한 도시공원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장소자산 분류와 활용방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ypes of Urban Parks for the Formation of Placeness - Focus on Place Asset Classification and Utilization method -

김미영, 문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our society is oriented towards globalism and localization, the value of diversi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there is competition centering on cities. So, the competitive powers of cit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each city needs to create its own differentiated image using its history and culture as resources. One such differentiation strategy is the make-up of urban parks as urban parks can work as a media in a pleasant life to create a local image for local people. However, current urban parks only focus on theme classification systems and necessary facilities a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They do not consider the context of place or the assets of each area.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assets of place based on factors of placeness in urban park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laceness in urban parks, the themes of parks were decided 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ssets. The assets are those which were analysed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such as the topography, the behavior of users, and semantic factors. Secon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s of local asset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the types of urban parks were classified. For ecological natural assets, method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were mainly used and the type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that develop ecological natural assets and those that preserve traditional historic assets. For the traditional historic assets, a regenerative method to preserve their meaning or to form new meaning through reuse was used, and the resulting types were categorized as the preservation type and the regeneration type. For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experimental programs or facility development were mainly used and there was a type of develop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It is suggested that these could be useful as classification systems which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in the make-up of urban cities.

한국어

세계화와 지방화 시대가 되면서 다양성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경쟁단위도 도시 중심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의 경쟁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 졌고 그로 인해 각 도시는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만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한다. 이런 차별화전략의 하나로 도시공원의 조성을 들 수 있다. 도시공원은 지역의 이미지를 창출하고 지역민에게 쾌적한 삶의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도시공원 조성은 지역의 장소적 맥락이나 자원을 고려하지 않은 채 법규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제별 분류체계 및 필요 시설만을 구비하는데 그치거나, 해당 지역의 단편적인 특성을 상징화하여 부각시키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장소성 형성요소를 기준으로 장소자산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시공원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특징적 장소자산의 성격에 따라 공원의 주제가 결정되는 특성이 보였다. 여기서의 자산은 지형, 이용자들의 행태, 의미적 요소 등 맥락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된 요소들은 의미한다. 둘째, 장소성을 형성하는 각 요소의 활용 방식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리환경요소는 형태적 시각화와 의미적 시각화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며, 체험요소는 설명적 프로그램과 연상적 프로그램을 통한 체험적 방식이 활용되었다. 의미요소는 풍토적 특성을 가시화하는 방식과 연상화를 통한 의미 인식 방식이 활용되었다. 활용 방식은 국내외 사례에서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장소자산의 분류 및 활용방법에 따라 도시공원의 유형을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생태자연자산은 주로 자산을 보존하는 방법과 새로운 요구가 결합된 개발적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생태자연자산 개발형, 생태자연자산 보존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전통역사자산은 의미를 보존하는 방법이나 재활용하는 것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재생적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전통역사자산 보존형, 전통역사자산 재생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문화예술자산은 체험적 프로그램이나, 시설적 측면의 개발을 통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문화예술자산 개발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 화는 도시공원 조성 시 목적에 따른 장소 특성을 보다 잘 형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도시공원과 장소성
  2.2. 장소성과 장소자산
 3. 장소성 형성을 위한 도시공원의 장소자산 분류
  3.1. 장소성 형성 구조와 요인
  3.2. 도시공원의 장소자산 분류
 4. 도시공원 사례분석
  4.1. 사례분석개요
  4.2.사례분석
  4.3.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미영 Kim Mi-Young.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과정
  • 문정민 Moon Jeong-Min.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Ph.D)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