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복 전통 견직물의 촉감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원문정보

Physiological Reaction to Tactile Sensation of Silk Fabrics used for Korean Traditional Hanbok

이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quantified data of sensibility measurement by examining the men’s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tactile sensation of silk fabrics used for Korean traditional Hanbok and its features. 53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to estimate tactile sensation of six kinds of silk fabrics so that the adjectives for the sensation might be extracted. Six subjects out of them were randomly selected for measuring their physiological reaction to the tactile sens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actor 1(senses of weight/unevenness), Factor 2(stiffness), and Factor 3(senses of elasticity/moistnes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results. 2. The skin conductance level(S.C.L.), skin temperature, and pul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actile stimulations of fabrics, and they were the lowest at the state of no tactile stimulation of fabrics. But, the blood volume pulse(B.V.P) was the highest at the same state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brics. 3. The S.C.L. was the highest with Yutong, which was followed by Nobangju, Gapsa, Myungju, Shantung and Kongdan. Yutong with its nature of being fluffy, had considerably high S.C.L., and the fabrics coarser and grainer showed higher S.C.L. while those softer and thicker lower S.C.L. 4. The Skin temperature was the highest with Yutong, followed by Nobangju, Gapsa, Myungju, Shantung and Kongdan. Yutong, with its elastic nature, showed high skin temperature. And the crispier and stiffer the fabrics were, the higher the skin temperatures were. 5. The B.V.P was the highest with Myungju followed by Kongdan, Shantung, Yutong, Nobangju and Gapsa. But, there was much variance depending on the tactile stimulations to the subjects. 6. The pulse was the highest with Myungju and Gapsa was also the highest or lower, which were followed by Yutong, Nobangju, Kongdan and Shantung. The moister and the thinner a fabric was, the higher the pulse was.

한국어

본 연구는 한복 견직물 소재의 촉감에 따른 특성 및 인체생리반응을 조사하여 정량화된 감성측정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대 여대생 53명을 대상으로 한복 견직물 6종에 대한 촉감 평가를 실시하여 촉감형용사를 추출한 후, 6명을 대상으로 촉감자극에 따른 인체생리반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촉감자극에 대한 평가 결과, 요인1(중량감 및 요철감), 요인2(강연감), 요인3(탄력 및 습윤감) 등으로 3요인이 추출되었다. 2. 인체생리반응 측정 결과 피부전도수준, 피부온, 맥박 등은 촉감자극에 따라 원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원단의 촉감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혈류량은 원단의 촉감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원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피부전도수준은 유똥>노방주>갑사>명주>산퉁>공단의 순으로 유똥은 ‘보송보송’한 특성으로 인해 피부전도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원단에서는거칠고 오돌도돌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부드럽고 두께감이 있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4. 피부온은 유똥>노방주>갑사>명주>산퉁>공단의 순으로 유똥은 탄력 특성으로 인해 피부온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똥을 제외한 원단에서는 사각거리며 뻣뻣할수록 피부온이 높게 나타났다. 5. 혈류량은 명주>공단>산퉁>유똥>노방주>갑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피험자별로 촉감 자극에 따른 편차가 많이 나타났다. 6. 맥박은 명주≥갑사>유똥>노방주>공단>산퉁의 순으로 습윤감과 두께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습윤감이 높고 두께가 얇을수록 맥박이 높게 나타났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시료선정
  2.2. 주관적 촉감 평가
  2.3. 인체생리반응 분석
 3. 연구결과
  3.1. 주관적 촉감 평가
  3.2. 원단별 인체생리반응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소영 Lee so-young.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상디자인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