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説明的場面で使用される談話標識「ホラ」の使用傾向 - 東京・大阪・仙台方言の地域差を中心に -

원문정보

설명적장면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 「Hora」의 사용경향 - 도쿄・오사카・센다이방언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

琴鍾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sage Tendency of the Discourse Marker, ‘HORA’, in the Explaining Situation - Focusing on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 Tokyo, Osaka and Sendai dialect - The discourse marker, ‘HORA’, is used in communication to remind the listener of their shared information and lead the communication based on it. In this paper, usage pattern of the discourse marker, ‘HORA’, on the explaining situation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 Tokyo, Osaka and Sendai dialect. It was found that the discourse marker, ‘HORA’, appeared in Sendai dialect more often than in Tokyo dialect but it did not appear in Osaka dialect. As a result, communication tendency of Tokyo and Sendai dialect is that speakers are to remind listeners of their shared information and to lead the communication based on it. This tendency is a little stronger for Sendai dialect than Tokyo dialect. However, Osaka dialect does not have the tendency.

한국어

설명적장면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 「Hora」의 사용경향 -도쿄・오사카・센다이방언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회화에서 정보의 공유를 환기하여 상대와 정보공유 하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담화표지인 「Hora」를 대상으로 지역차에 주목하여 도쿄방언, 오사카방언, 센다이방언의 사용경향의 차이를 밝혔다. 검토 결과, 「Hora」의 사용빈도는 도쿄방언에 비해 센다이방언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오사카방언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도쿄방언과 센다이방언에서는 상대에게 정보의 공유를 환기하여 상대와 정보공유 하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려는 경향이 강하고, 센다이방언에서 그러한 경향이 도쿄방언보다 좀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오사카방언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목차

Ⅰ.はじめに
 Ⅱ.先行研究とその問題点
 Ⅲ.調査の概要
 Ⅳ.研究方法
 Ⅴ.「ホラ」の機能
  1.共有情報を喚起する「ホラ」
  2.共有可能な情報を喚起する「ホラ」
 Ⅵ.各地域における「ホラ」の使用傾向
  1.事例分析
  2.「ホラ」の地域別使用頻度
 Ⅶ.まとめと今後の課題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琴鍾愛 금종애. 忠南大学校 日語日文学科 助敎授, 日本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