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및 동아시아 인문학

장률영화에 나타난 서발턴 연구

원문정보

The Subaltern's Aspects of Existence and Meaning appeared in Zhang Lu's Movies

서옥란, 김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considered Chinese Korean Film director Zhang Lu’s four feature-length film-, , , as the main objects, referenced one of the postcolonial feminist theory Spivak’s Subaltern concept, reflected in reproduction aspects and way of image through the movie,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investigated. In Zhang Lu’s movie, appeared a variety of Subaltern images who are the Chinese Korean, Defectors, Women, Old people, Prostitutes, Migrant workers and so on. With the changes of history and reality, Zhang Lu reproduced image of Subaltern people who had to experience diaspora and suffer from oppression and exclusion regardless of their own pain, but for their own liberation and resistance image, reveals the possibility to be able to recover the dominant position. Also, masked female Subaltern image reproduced by the female body and Maternal instinct two ways. Through the body of Subaltern people suffered sexual oppression of women, represented the affection of a social and regions including in ethnic differences, gaps, and the wounds of history, rightly pointed out that the right relationship of a society how to form and operate. In Zhang Lu’s movie, Subalternfemale motherhood beyond motherhood concept, in an ideal level proven to overcome the practical contradiction situation. At the same time, the motherhood expanding from the underlying join gave a positive impetus to the ultimate goal of the Subaltern people, which took them to the freedom and liberation. In a word, by the intellectual Zhang Lu’s ‘Send word’ and ‘Speaking’, rediscovered the value of Subaltern people in the border. Also, Zhang Lu’s movie precisely reproduced the Subaltern life that forced to suffer silent, leading them to the Subaltern’s main topic, leaving a great deal of meaning and value to the ultimate goal of the Subaltern people’s theory and practice, which return to the history dominant position and to liberation. Under the special cultural background between China and Korea, as a Chinese Korean film director, I tnink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is effort that open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족 영화감독인 장률의 <망종>, <경계>, <중경>, <두만강> 등 네 편의 장편영화를 대상으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틀 안에서 스피박의 서발턴이란 용어에 주목하 면서 그의 영화에 나타난 서발턴의 재현양상과 재현방식을 통한 의미의 추구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장률영화에서는 조선족, 탈북자, 여성, 노인, 매춘부, 이주노동자 등 다양한 서발턴들을 등 장시켜 역사, 현실의 변화에 따라 디아스포라를 경험할 수밖에 없는 갈등의 서발턴과 경계에 서 억압받고 소외된 서발턴들이 자신이 겪는 고통에도 불구하고 주체로 일어서기 위해 반항 하는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가려지고 은폐된 서발턴의 주체복원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여 성 서발턴을 재현함에 있어서 주로 여성의 ‘몸’과 모성이라는 두 가지 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성적억압에 시달리는 여성 서발턴의 ‘몸’을 통해 그 사회와 지역이 품고 있는 민족적 이질감, 차별, 역사적 상처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한 사회의 권력구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를 정확하게 짚어낸다. 또한 여성 서발턴의 모성은 모성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이상적인 차 원에서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대의 저변으로부터 확대된 모성은 서발턴의 궁극적인 목표인 자유와 해방의 주체로 나아가는데 긍정적인 힘을 심어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지식인 장률의 ‘말 걸기’와 ‘말하기’를 통해 경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서발턴들 의 삶을 가치를 재발견하며 침묵을 강요받는 서발턴의 삶을 재현함으로써 그들을 담론의 장 으로 이끌어 서발턴 이론과 그 실천의 궁극적 목표인 서발턴들의 주체복원 가능성과 해방에 접근시키고 있다. 중국조선족 감독으로서 중국과 한국의 특수한 문화적 배경 하에서 다원문화 적 공존의 가능성을 열어보려는 그의 노력의 의의와 가치 또한 여기에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서발턴의 갈등과 고민의 재현양상
 3. 은폐된 여성 서발턴의 재현방식
 4. 서발턴의 재현을 통한 의미의 추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옥란 Ok-Lan, seo.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한국학학원 부교수
  • 김화 Hwa Kim. 중국 연변대학교 대학원 아세아-아프리카 언어문학학과 석사연구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