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지도 제작을 위한 역사지리환경의 복원

원문정보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Historical-Geographical Environment for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ical Maps

김종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a and Japan have published their national historical geography map for past 50 years. North Korea initiated national historical geography map publication in 2007.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Republic of Korea has only recently started to work on its national historical geography maps. From 1990s combined with the World Wide Web use, historical geography maps are developed using GIS software resulting in digital maps. This procedure changed status of map from simple figures on a paper to a complex body of huge amount of information. Consequently, digital map making procedure required wide cooperation including geographers, historians, GIS programmers, and Web designers. This study presents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maps. In developing the historical geography maps, basic 4 subjects of information are introduced including administrative regions, natural environments, transportation networks, and a gazetteer database. For each subject, categories, cont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are provided. Historical geography maps are considered as a big database covering complex information about geography, history and their changes over time. Consequently, updates and managements of the database become critical issues in historical geography maps. Basic data management methods are briefly introduced at the end of paper.

한국어

일찍이 일본과 중국, 그리고 북한도 2007년에 출간한 바 있는 역사지도집이 한국에는 아직 없다. 최근에는 역사지도 역시 디지털맵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디지털맵은 역사지도를 단순한 지도에서 거대한 정보체로 전화시켰고, 역사지리학자와 역사학자 에게 GIS 프로그래머와 웹디자이너가 아주 중요한 파트너가 되어야함을 알려주었다. 이 글은 역사지도 제작론에 입각하여 역사지도와 관련된 주요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역사지도에 수록될 정보들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정보, 즉 시대와 주제를 초월하여 마치 밑바탕 그림처럼 수록되어야하는 정보를 행정구역, 자연환경, 교통망, 지명데이터베이스 네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네 영역 각각의 수록 범주와 내용, 그리고 그 방법론에 대해 기술한다. 역사지도는 역사지리정보의 집합체적 성격을 갖는 점에서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DB를 어떻게 표출하고 계속 생성되는 역사지리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된다. 이에 본고 말미에 역사지리정보의 표출과 관리 방안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제시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머리말
 II. 역사지리환경의 특성
  1. 역사지리환경과 역사지리정보
  2. 시공간의 변화와 위치비정(位置比定)
  3. 역사지리환경과 역사지도
  4. 역사지도 제작과 GIS
 III. 역사지도의 기본 구성 요소
  1. 행정구역
  2. 자연환경
  3. 교통망
  4.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축
 IV. 역사지리환경데이터베이스의 표출과 관리
  1. 역사지도의 제작과 자료집 출간
  2. 역사지리환경DB의 관리 방안
 V. 맺음말
 註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종혁 Jonghyuk Kim.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