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별에 따른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김은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term of “Job embeddedness” is the new concept to explain why employee chooses to stay with an organization and we could assume that this is a reason variable to effect turnover intention. Job embeddedness is conceived as a key construct between on-the-job (Fit, Link, Sacrifi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also between off-the-job factors (Fit, Link, Sacrifice)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presented, First, Job embeddedness on the organiz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o be concrete, an individuals’ fit to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related sacrifi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but the organization-related link didn’t have any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embeddedness on the community didn’t have any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id,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he fit, link and sacrifice of the organiza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gardless of gender, only the fit and sacrifice to the organization had an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fit to the organization had more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an the link to the organization for both genders. Fourth, Job embeddedness on the fit, link, sacrifice of the community had no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either gender. In conclusion, regardless of gender, job embeddedness has no effect on the fit, link and sacrifice of the community and turnover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써, 직원들이 왜 조직에 남아 있는가를 설명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의 개념으로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을 이직에 영향을 미치 는 원인변수로 보고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직무배태성이란, 직원들이 조직에 남아있는 이유를 조직과 지역사회의 각각의 적합성(Fit), 연계(Link) 그리고, 희생(Sacrifice)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이직 연구들과 달리 종업원들이 조직에 왜 남아있는가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으로 직장내 요소(조직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및 직 장외적 요소(지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들이 직원을 조직내 잔류할 수 있게 매개해주는 핵심 개념이라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 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 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에 대한 연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모든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에 대한 연계는 이직의도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조직에 대한 적합성과 희생의 지각정도가 실제 이직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조 직에 대한 희생보다는 적합성 변수가 이직의도와 더 강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넷째, 지역사 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지 역사회에 대한 적합성, 연계, 희생 모든 변수가 이직의도와는 유의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이직에 관한 이론
  2.2.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 관한 이론
  2.3.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Ⅲ. 연구모형과 가설
  3.1. 연구모형의 설정
  3.2. 연구가설의 설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Ⅳ. 실증분석
  4.1. 조사방법 및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4.2.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4.3. 가설의 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애 Eun-Ae Kim. 루이비통 코리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