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분뇨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원문정보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Odor Compounds from Night-soil and Livestock Treatment Facility

서병량, 김태오, 황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by the odor survey and causal analysis on dilution value and legally-designated odorants (22 compounds) of 9 night-soil treatment facilities and 6 livestock treatment facilities in operation for 3 years between 2008 and 2010. As a result of this study, major odorous compounds in the research area appeared to be sulfur compounds such like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The highest odor concentration was detected at the pretreatment and sludge treatment process unit of each facility. First storage tank was to be examined that in case of aeration odor dilution value and hydrogen sulfide was the 100,000 dilution value, 79.84 ppm and in case of non -aeration the 144, 0.01 ppm respectively at N-I, in case of agitating the 14,423, 35.23 ppm and in case of non-agitating the 3,107, 18.42 ppm respectively at N-C. It was also surveyed that according to examing of second storage tank, in case of aeration odor dilution value and hydrogen sulfide was the 66,943 dilution values, 358.80 ppm and in case of non-aeration the 14,422, 1.76 ppm at L-D, in case of agitating the 10,000, in case of non-agitating the 3,000 dilution value respectively at L-A. It was so formed the positive pressure by a high head of conveying fluid pipe and aeration in storage tank that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negative pressure by the extension of conveying fluid pipe, control of air volume and the prope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ventilation syste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분뇨와 가축분뇨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제시를 위하여 2008년~2010년까지 분뇨처리시설 9개소와 가축분뇨처리시설 6개소에 대하여 복합악취와 지정악취물질(22종)을 대상으로 악취실태조사 및 원 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조 사결과 분뇨와 가축분뇨처리시설 중 전처리시설과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주로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 되고 있었으며, 황화수소 와 메틸머캅탄 등의 황화합물류가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조사되었다. 1저류조 측정결과 N-I에서 복 합악취와 황화수소는 포기 시 각각 100,000배, 79.84 ppm, 비포기시 각각 144배, 0.01 ppm이었으며, N-C에서는 교반시 각각 14,423배, 35.23 ppm, 비 교반시 각각 3,107배, 18.42 ppm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저류조 측정결과 L-D에서 복합악취와 황화 수소는 포기시 각각 66,943배, 358.80 ppm, 비포기시 각각 14,422배, 1.76 ppm, 그리고 L-A에서 복합악취는 교반시 10,000배, 비교반시 3,000배 로 조사되었다. 저류조에서는 처리수 이송용 파이프 라인의 낙차와 포기시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 므로 파이프 라인의 연장, 공기공급량 조절, 그리고 악취포집설비의 정상적인 설치·운영으로 저류조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처리시설
  2.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공정별 악취발생 특성
  2. 공정별 악취발생원인 분석 및 관리방안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서병량 Byeong-Ryang Seo.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대기관리팀,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오 Tae-oh Kim.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황의현 Ui-hyun Hwang. 경북도립대학교 토목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