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ation’, which is being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 variety of fields.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and formation of Korea’s presentation culture, as well as its implications in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task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news articles for the last 20 years, and then combine those works into theories. The emergence and formation of Korea’s presentation culture is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practice from only a few corporations to various areas of the society in the early 2000s. This phenomenon is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environment and western-style speech culture in Korea. Researchers picked up three keywords to explain the presentation culture in Korea these days. The first keyword is ‘visual technology.’ Since present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takes advantage of audio-visual equipment, the formation of the presentation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visual culture. Present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video generation's tool of expression. The second keyword is ‘speech.’ By regarding presentation as a special form of speech, the presentation culture can be understood as a development of rhetoric. Presentation is analogous to speech in its purpose and configuration. However, in the era of capitalism, its characteristic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imilar to advertisement. The last keyword is ‘neoliberalism and selfdevelopment.’ Presentation has gained a strong influence in the Korean social system and the self-development culture in Korea. In the era of neoliberalism, where the advertising nature of presentation is highly valued, presentation has become a symbolic means of self-development and showing one's entrepreneurial identity.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 한국사회의 프레젠테이션 문화가 형성된 과정과 그것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문화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먼저, 한국사회의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형성 과정은 상용화, 문화화, 능력화라는 세 가지 핵심어로 설명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국내에서 빠르게 정착한 테크놀로지 환경과, 서구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도입으로 인한 스피치 문화의 형성이라는 사회적인 변화가 자리한다. 한편, 한국의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함의는 크게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는 ‘영상시대와 영상 세대’로, 프레젠테이션은 시청각 기기를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측면에서 영상문화의 도래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프레젠테이션은 2차적 구술성, 하이퍼텍스트적 속성과 같은 특성과 더불어 영상문화의 주체로서의 영상세대의 표현도구로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는 ‘스피치 전통의 재림’으로, 프레젠테이션의 전신을 연설로 보면서 이를 수사학의 발달이라는 큰 줄기 속에서 이해하였다. 오늘날의 프레젠테이션은 그것의 구성방식이나 목적에서 이전의 연설과 상당부분 유사하지만, 보다 광고의 특성에 가까운 형태를 띠면서 자본주의 시대의 설득의 도구로 활용된다. 이때의 설득은 단지 상품이 아니라 개인의 아이디어나 능력을 어필하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광고를 의미한다. 마지막은 ‘신자유주의와 자기계발’로, 프레젠테이션은 한국의 사회체제와 자기계발 문화 속에서 하나의 강력한 담론으로 영향을 미친다. 신자유주의의 출현은 많은 분야들을 점점 경제적 영역으로 전환하였고, 이는 효율적이고 광고적 특성을 가지는 프레젠테이션 말하기 형식의 확산과 그 궤를 같이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체제 내에서의 프레젠테이션은 곧 현대인의 자기계발 도구이자, 그들의 기업가적 자아의 정체성을 잘 보여 주는 상징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연구의 목적과 절차
3. 한국 사회의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형성 및 변화
4.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함의 1: 영상시대
1) 영상시대의 도래와 다감각성의 회복
2) 디지털 시대의 텍스트
5.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함의 2: 스피치 전통의 재림
1) 프레젠테이션의 수사학: 구성 요소
2) 프레젠테이션의 수사학: 설득 모델
3) 현대의 스피치와 프레젠테이션
6. 프레젠테이션 문화의 함의 3: 신자유주의와 자기계발
1) 프레젠테이션 능력의 수요와 자기계발 현상
2) 자기계발 도구로서의 프레젠테이션
7.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