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권/공익-구도를 중심으로 하는 법치주의의 재 조명

원문정보

Reillumination of the Legalism(rule of law)

은숭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have adopted the rule of law in order to hate the Byonhakdo Punching the cheek of beautiful Chunhang saying you will let me know your sins, to overcome the rule of man. However, I was frustrated too complicated that how to understand discretion for the rule of law (human rights/public interests=legal stability·legitimacy·purposiveness), the theories of how to interpret(or detection) of in the law and a majority/ minority theory by in the jurisprudence, Trial class system, a three judge panel of the court, The judicial participation system of citizens, a majority/minority/separate opinion and disput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by in the trial. 'That is the rule of law!' I'm sure some people might be. Nevertheless Why such a thing has occurred, this is a problem in this paper. Then I wonder to understand how the EU to develop as a federal state(Staatenverein,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with the subsidiarity principle not a unitary state, confederatioin of states or a federal state? It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understanding of this law auto-emergence of system theory for the Reduction of complexity of Niklas Luhmann or consensus b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of Juergen Habermas. However, It seems not fully explain the rule of law because there are many conflicts between of them. Afterward I will arrange the theory of those differences. This section, I presented a coupling theory by operative Constructivism in these theories. Recently Theory of quantum computer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theory was awarded the Nobel Prize of 2012, so seem to have a natural scientific and realistic basis, I tried briefly about it. And as modifi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these, I tried a combination of theories of law on the basis of the One Mind · 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that is presented to integrate the theory of already 1500 years ago.

한국어

우리는 네 죄를 네가 알렸다! 말하면서 아름다운 춘향이의 볼기를 때 리는 변학도를 증오하며 인치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법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법학에서의 법치주의(인권/공익=법적 안정성·정당성·합목 적성)/(입법부/행정부/사법부의) 재량, 법의 해석- 내지 발견-방법에 관 한 제 이론들, 그리고 개별 법학에서의 다수설/소수설, 재판에서의 3심 제·합의부·국민참여재판, 다수의견/소수의견/별개의견, 대법원과 헌법재 판소의 견해 다툼이란 현상 앞에 법치주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너 무도 복잡하여 아연실색할 뿐이다. 그것이 바로 법치주의야! 하실 분도 계실 것이다. 그런데 왜 그렇게 되었느냐 바로 그것이 본고의 문제이다. 그리고 EU가 단일국가, 국가연합, 연방국가도 아니고 보충성원칙을 가지 는 개별 독자적 국가들의 연방(국가연방Staatenverein, 독일연방헌법재판소)으로 발전해 가는 현 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나아가 본 논 문의 주된 관심사항은 아니지만 하버마스의 소통적 행위의 이론에 의한 합의(Konsensus) 혹은 루만의 복잡성 축소(역설의 관리)를 위한 (법)시 스템의 자동창발이론 등이 법이해의 대안으로 제시되지만, 그들 사이에 도 행위와 소통을 위요한 엄청난 의견대립만 있을 뿐 이렇다 할 법치주 의 현상을 완전히 설명해 주지는 못하는 것 같다. 추후에 그것들의 상관 적 차이 하의 이론들의 종합을 시도해 보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이것을 위한 하나의 제 이론들의 결합이론(극단적 구성주의/ 잠정적·존재론적인 살아있음, 활동함, 반성함을 의미하는 작동operation 적 구성주의) 중 작동적 구성주의에 의한 결합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것을 위해 최근에 2012년도 노벨상을 수상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이 론과 양자컴퓨터이론이 그것에 대한 자연과학적·사실적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것으로 보이므로 그것에 대해 간단히 언급해 보았으며, 이것들의 인문·사회과학적인 수정과 변형의 모습으로서 1500여년 전에 이미 불가 의 제 이론들을 통합하기 위해 제시된 경상북도 경산 자인에서 태어난 원효의 일심·화쟁 사상에 기대여 법학의 제 이론들의 결합을 시도해 보 았다. 물론 어떤 종교적 의도도 없이 말이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1. 서론
 2. 유도만능줄기세포
 3. 양자컴퓨터 이론
 4. 중간 결론
 5. 원효의 일심(하나 된 마음)사상 및 화쟁사상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은숭표 EUN, Soong Pyo.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