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습부진학생 지도와 내실화 방안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and Reinforcing Method : Utilizing In-depth Interview

임유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limits by researching the operation condition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to seek approach method to reinforce the instruction. As the result, First, the study objects have the common critical mind on the points of the reality of current instruc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that the ambiguity of the standard that appears during the course of selecting underachieved students and inconsistency of operation, absence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lack of time to instruct underachieved students and capacity thereof, non-preparation for customized teaching material or curriculum, isolated teaching culture, etc. Second, Study objects considerably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re is almost no effect in current program operation. Third, Study objects considered that, in order to reinforce th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different viewpoint on the basis of the comprehension of realistic difficulty in school field and teacher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preparation for the system and the standard of testing evaluation which enables valid selection of underachieved students, and its supply, the establishment of planning and operation method for steady and consistent instruction, preparation for cooperative structur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and its promotion, preparation for the curriculum, and support arrangement based on the necessity of teachers and students, etc.

한국어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운영 실태 및 초등교사의 인식을 연구하여 문제점과 한계를 조명하고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내실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의견을 도출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자들은 현행 학습부진학생 지도 실태에 대해 학습부진학생 판별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준의 모호함과 운영의 비일관성, 교사와 학생의 자발적 참여 부재, 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할 시간이나 여력의 부족,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맞춤형 지도 자료나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 고립적인 수업 문화 등의 측면에서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필요성에는 상당히 공감하고 있으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에 대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자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교육부나 교육청에서 하달식으로 내려오는 지원 정책이 아니라 학교현장과 교사의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부진학생 판별이 타당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단평가 체계와 기준 마련 및 보급, 꾸준하고 일관되게 지도할 수 있는 계획 및 운영방식의 수립, 교사-전담강사-가정-관련시설의 협력적 소통구조의 마련, 지도 자료의 개발과 홍보,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마련,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필요에 기반을 둔 지원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부진의 개념
  2.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학습부진학생 지도 실태와 문제점
  2.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필요성과 효과
  3. 현행 학습부진학생 지도 정책을 넘어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유나 Lim, Yoo-Na. 서울금산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