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xamining Measurement Invariance Using the MIMIC model : Gender Difference in FLCAS

원문정보

Ra, Jong-min, Kim, Jae-Chu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eign language anxiety is rapidly growing concern as different level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inevitably affect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and/or foreign languages.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anxiety related research is often concerned with comparison of different degrees of perception across groups (e.g., males and females). Although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are meaningful, the inconclusive results of how differently males and females perceive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garnered more attention than before. Hence, this study uses the multiple-indicator/multiple cause (MIMIC) approach to evaluate whether there are items violating measurement invariance caused by different gender o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with college students' pop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difference might be viewed as a source of measurement bias and that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an male students across three underlying traits (e.g., communication apprehension, test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s study would be the first one scrutinizing construct validity of FLCAS by disentangling gender difference existed in the underlying traits from group differences arising from the measurement non- equivalence. In additio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ould be enhanced further if the analyses of non-uniform measurement equivalence with larger sample sizes are performed. Furthermore, it would be interesting to explore how items of FLCAS behave with the respect to item response theory.

한국어

외국어 불안이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면서 외국어 불안에 대한 관심이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외국어 불안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외국어 불안에 대한 남녀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외국어 불안에 대한 인식의 성차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이 유의미한 함의점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가 외국어 불안을 얼마나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이한 결론들은 외국어 불안 척도에 대한 더 많은 주의와 관심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IMIC 모형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외국어 수업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FLCAS 척도 문항들이 남녀 간에 측정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체 33개 외국어 불안 척도 문항 중에서 30개 문항에 대해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3개 문항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 외국어 불안 척도가 남녀 간 차이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33개 문항 중 3개 문항은 측정의 편파(bias)가 작용한 차별기능문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측정의 편파에 관련된 3개 문항을 제외한 후 외국어 불안 척도의 의사소통불안, 시험불안, 평가에 대한 불안 등 3개 하위영역에 대한 평균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MIMIC 모형을 활용한 성차 분석에서 측정동일성을 위반한 문항을 발견하고 이를 제외함으로써 FLCAS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보다 큰 규모의 표본을 요구한다는 제한점은 있지만 비균일적 차별기능문항(non-uniform DIF) 기법을 활용한다면, 외국어 불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이용하여 FLCAS 척도의 차별문항을 탐색하는 것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Introduction
  1. Measurement Invariance
  2. MIMIC model
 Ⅱ. Methods
  1. Instrument
  2. Participants
  3. Data Analysis
 Ⅲ. Results
  1. The Optimal Number of Factors
 Ⅳ.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Ra, Jong-min 라종민. Kookmin University
  • Kim, Jae-Chul 김재철. Hannam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