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수분설화에 투영된 기저 의식과 담론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undamental Consciousness and Discourse Aspects of Whasubun-Folk Tale

김복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subun-Folk Tale is constantly pouring out a Whasubun that is a story motif. In this tales is shaping a ‘Whasubun' motif characteristic of the four main qualities. The first, it turns out the thing endlessly. But to do this, the owner of the Whasubun should put things that he want. The second, mainly mediated by the presence of frogs exposed. The third, it exists in the form of a bowl which can be seen near the most common things. the fourth, it is implicit taboo. This characteristic of the four main qualities inherent in the story of the life of a farmer is shaping symbolically. In other words, Whasubun the 'Farm Land' is a symbol of the ability to speak. On the other hand, Whasubun-Folk Tale foregrounding of content, depending on how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wo types are separated. The first type, in reality, commoners can not get through the imagination to gain riches hope was expressed. If they do good, recognized that the hope is the discourse of moral judgments. The second type, foregrounding of taboo. It is required by the agricultural culture of honesty and abstinence is the practice of the moral virtues. The term of the members of the group which emphasizes mutual harmony and cooperation is the organic world. And is granted to an individual in the agricultural culture of ethical virtue is practical discourse.

한국어

화수분 설화는 물건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화수분을 화소로 하는 이야기이다. 이 설화들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화수분’이란 화소는 끊임없이 물건을 쏟아낸다는 반복성과 먼저 원하는 물건을 넣어야 한다는 점, 주로 개구리를 매개로 그 존재를 드러낸다는 점, 생활 주변에 널린 흔하고 하찮은 그릇의 모양으로 존재한다는 점, 금기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 등의 네 가지 주요 특징적 자질을 지닌다. 이 네 의미 자질은 화수분설화에 녹아 있는 기층 농민의 삶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화수분은 ‘땅(농토)’의 능력을 대변하는 상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설화 내용의 전경화 방식에 따라 화수분설화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서사적 구조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현실에서 결핍된 재물을 설화적 상상력을 통해서라도 성취해 보고 싶은 민중적 소망이 담겨 있고, 그 소망은 선행과 같은 타당한 행위에 근거해야 한다는 도덕적 가치 판단의 담론이 내재한다. 두 번째는 땅이 요구하는 정직과 절제라는 농경문화의 확고한 윤리적 덕목의 실천이 요구되는 금기가 전경화되어 있으며, 이 전경화된 금기는 집단 구성원의 상호 조화와 협력을 중시하는 유기적 세계관의 농경문화 속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윤리적 덕목의 실천 담론에 해당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화수분 화소(話素)의 변별성
 Ⅲ. 화수분설화의 유형별 구조와 담론
 Ⅳ. 개구리의 상징성과 기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복순 Kim, Bok-sun. 강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