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시개발과 학교 이전, 그리고 공간의 분절

원문정보

Co-relationship between Relocating High School and Urban Development

김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s of re-locating so called prestigious high schools situated in down town Seoul to newly developed Gangnam district in the 1970’s. Based on oral statements gathered from the city officials and school teachers, the author analysis causes, process, as well as effect and historical meanings of re-location. Park Chung-Hee regime launched massive developmental project in Gangnam area to ease the rapid expansion of Seoul population which then caused various urban problems. To guarantee successful development, the Seoul city government decided to make use of education orientated minds of Seoulite. That is, if the city government forced the top class high schools to move to Gangnam area, it would then induce large influx of student population around that schools. This policy proved quite effective and it is said that successful Gangnam urban development owed much to the re-location of schools. The first stage of re-location began in the early and middle of 1970’s. The city government forced the most prestigious public schools to move out from the down town. Those schools which moved during this period met with strong oppositions from the students and alumni, but succeeded in securing large estates and other privileges for relocation. Which intern enabled the schools to gain profits from the following real estate price boom. The second stage of re-location began in the late 1970’s. In this period, many private schools voluntarily moved to core area of Gangnam and neighboring districts, to gain benefit from rapid increase in land cost. The final stage of re-location began in the late 1980’s due to governmental policy to induce high schools to move to newly developmental districts of Songpa, Mokdong and Nowon area. These schools together with those mo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emerged as the top class elite school within that district and accumulated wealth from the land speculation that swept in the 1970’s and 1980’s in Seoul. As a conclusion,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re-location of school contributed in differentiating Seoul landscape as rich and poor,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advance and backward, making Seoul more unequal and create tensions between Gangnam and Gangbuk.

한국어

본고는 1970~80년대 강남·목동·노원지구의 성공적인 개발과 주민 유치를 위해, 사대문 안에 위치했던 이른바 명문 공사립학교들을 정책적으로 이전시킨 문제에 관한 연 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학교들이 정책적·자발적으로 이전해가는 계기와 과정·결 과·의미 등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당대 신문자료 및 이전된 14개 학교의 관계자들과 도시계획관료 등 총 26명의 구술을 채록하여 재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음 과 같은 점을 밝혔다. 먼저 강제로 이전된 학교들의 경우 공립학교가 많았고, 이전 원인으로는 강남 개발을 성공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에서 비롯되었으며, 시기로는 1970년대 중후반이 많았다. 또한 이전 반대급부로 후일 이전해 가는 학교보다 많은 지원과 특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유형으로는 자발적으로 이전된 학교로 낡은 교사와 좁은 교지, 도심 학생 수의 감소 등의 원인으로 이전하였으며, 사립학교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1970년대 말에 이 전한 학교들은 이른바 강남 핵심지역에 넓은 교지를 확보할 수 있었으나. 1980년대 초반 에 이전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강남 외곽지역에 분포하고 있다는 특성도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半 자발적 유형으로 서울시의 송파, 목동, 노원 개발을 위해 정책으로 이전된 학 교들이나 학교 자체도 이전 의사를 갖고 있었던 경우이다. 이전 과정에는 국회의원 등 정 치권의 영향력 행사가 새로운 요소로 등장했다. 이들은 주로 1980년대 후반기 이전하였 으며, 상당한 특혜를 얻었고, 이전 후 해당 지역의 명문학교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이전과 서울 도시경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학교 이전은 도시 경관의 이중성·차별성을 만들어내는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도시 권력 의 강력하고 다양한 개입으로 인해 공간의 차별화가 시작되었으며, 이전 후, 각 학교 의 지가상승으로 인한 재산 증대와 명문화·차별화 전략으로 인해 강남과 강북의 경관의 이중성과 차별성은 심화되었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는 정치권력층의 단독 작품이 아니라 학교관계자들, 학생 및 동문들의 공조로 인해 가능했으며, 이들은 정권의 주요 협력층이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강남개발과 학교 이전의 상관관계
  1) 서울의 팽창과 강남 개발계획
  2) 도심 학교의 이전 정책과 추진 과정
 3. 유형별 이전 학교와 교지 확보
  1) 정책적 이전 유형
  2) 자발적 이전 유형
  3) 半자발적 이전 유형
 4. 이전의 결과, 장소성의 변이와 공간의 분절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숙 Kim, Hyun-Sook.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전임연구원, 한국근대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