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근현대 지역자료(문헌과 구술자료)를 보는 시각과 현장조사 방법론 : 무슨 자료를 왜, 누구로부터,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원문정보

What kind of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why, from whom and how : the perspective for looking at local material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field work method

주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tremendous changes in the locality of the people’s everyday life for the last one century which was a turbulent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in Korea. When local self-govenment revived in the 1990’s, it became a major task to recover the local identity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concern for cultural policy and historical reconstruction to illustrate those changes in the locality as well. Now it is time to pay attention to local history and local culture whereas historians and researchers in humanities were concerned with a history and culture of metropole. Local material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not only been out of most historians’ sight, but also have been difficult to obtain. But many researchers and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bega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the local materials since 2000.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ethods to collect the local materials in this historical trend. It does not try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recent state of local history collection but seeks alternative ways for collecting the local materials through trials and errors the author encountered in the field for 20 years. The ways in which the author suggests for collecting them are discussed in terms of five issues. First, the author will examine the perspective to look at the locality. Second, it will be discussed how to understand the social network which is the sketching of the locality. Third, how to choose the local people, where and from whom, and fourth, the process of doing field work will be explained and lastly, the author will summarize the major points in collecting the local materials.

한국어

한국의 근대와 현대, 한마디로 지난 100년간의 역사는 매우 파란만장한 굴곡을 겪은 시기였고, 민의 생활 현장인 지역으로 눈을 돌려보더라도 그 변화상은 매우 컸다. 본격적 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자기 지역의 정체성 찾기가 주요 과제로 등장하였고, 그 변 화상을 증명하고 대외적으로 홍보할 각종 문화정책과 역사상 복원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 고 있다. 역사학계를 비롯하여 인문학 전 분야에 걸쳐 그간 중앙사와 중앙문화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지역사와 지역문화에도 눈길을 돌려야 할 것이다. 그동안 근현대 지역자료는 학문 내적 혹은 외적인 이유로 연구자들의 관심 밖의 대상 이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자료에 대한 수집에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2000년대를 전후로 하여 국가 연구기관을 비롯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지역자료에 대한 수집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 속에서 근현대 지역 자료에 대한 수집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계에 보고된 지역 자료 현황이나 연구사 정리가 아니라 필자가 20년 동안 현장에서 느끼고 체험한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조그만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구체적인 근현대 지역자료 수집 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을 보는 관점(시각 점검), 둘째, 사회적 관계망 파악(조사대상 지역의 밑그림 그리기), 셋째, 조사대상 선정(어느 장소, 누구를 만나서), 넷째, 단계별 현장조사 방법론(무슨 절차를 걸쳐서), 다섯째, 유의사항(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등이다.

목차

<국문초록>
 1. 근현대 지역자료의 내포와 외연
  1) 근현대 지역자료의 의미와 수집의 어려움
  2) 근현대 지역자료(문헌 및 구술자료) 수집의 필요성
 2. 근현대 지역자료 수집 방안
  1) ‘지역’을 보는 관점(시각 점검)
  2) 사회적 관계망 파악(조사 대상 지역의 밑그림 그리기)
  3) 조사대상 선정(어느 장소, 누구를 만나서)
  4) 단계별 현장조사 방법론(무슨 절차를 걸쳐서)
  5) 유의사항(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3.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혁 Joo, Hyuck. 한양대 사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