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애니메이션광고의 실사성과 비실사성 - 기호학적 분석 -

원문정보

On Relationships between Real and Non-real Images in the TV Animation Commercials - A semiotic approach -

최인숙, 조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is essentially aimed at the clarification of human cognition and understanding to the reality. This study tests this cognitive and comprehensive problem in front of image confused between real and non-real vis animated TV commercials. The semiotic devices can clarify the roles and process of story of which the real/non-real image share each other in its narrative structure and visual expressions of form, scale, composition and colors. The results are : 1. the real images were associated deeply with the non-real images on every dimension of narrative.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non-real images in narrative schema and program which indicate images' story roles and process. 2. the real images were associated perfectly with the non-real images on every dimension of expressions.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non-real images in composition, form and scale and colors which indicate images' figurative style. As conclusion, the presence of New Media in the contemporary TV commercial and visual production makes new perception and comprehension to visual reality. The human ability to accurately detect some cognitive and comprehensive differences between real image and the animated of the non-real relies on the empathetic condition of his min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 리얼리티를 구성해 내는데 실사/비실사 이미지의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 이다. TV 애니메이션 광고를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연구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에 따라, 첫째 내러티브 분석, 조형의 표현 분석 파트를 이용하여 실사/비실사 이미지가 광고 내러티브에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는가, 상호간 역할은 무엇인가를 밝힌다. 둘째로 광고의 조 형표현에 있어서 실사/비실사 표현이 어떤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들 표현이 상호적으로 어떻게 관계하는가를 밝힌다. 조형표현의 요소는 구도, 형태 와 크기, 색채이다. 분석결과로서 TV광고에서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실 사/비실사 이미지는 이야기 구성방식에 있어서 어떠 한 차이도 없으며, 표현의 스타일에 있어서도 어떠한 차이도 발견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광고 영상 에 있어서 비실사 이미지는 실사 이미지가 참여하지 못하는 이야기의 역할에 독립적으로 참여 하고 있으 며, 표현에 있어서도 실사 이미지가 표현할 수 있는 영역까지 모두 표현하고 있었다. 뉴 미디어 시대에 인간의 인지는 기술적 리얼리티 의 차이를 잘 느끼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적 리얼리티로부터 인간적 리얼리티로 전환해야 할 시대 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사/비실사 이미지의 문제 는 더 이상, 기술이나 효과의 문제와 목적이 아니라 21세기 들어 더욱 인간적인 영상문화를 만들어내는 미래지향적인 문제설정과 목적에 부합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절차
 2. 이론적 배경
  2.1. 애니메이션과 이미지 이해도의 문제
  2.2. 애니메이션과 실사성
 3. 분석의 설계
  3.1. 분석대상 설명
  3.2. 분석방법 설명
  3.3. 분석의 절차
 4. 분석 및 분석결과
  4.1. 농심 켈로그 분석
  4.2. 미닛 메이드 분석
  4.3. 코카콜라 분석
  4.4. 분석결과의 개요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인숙 Choi, In Sook.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디자인학과 교수
  • 조필호 Cho, Pill Ho. 한림성심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