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헬스케어를 위한 인체통신망 기반의 인지무선 보안 고려사항

원문정보

Security Considerations on Cognitive Radio based on Body Area networks for u-Healthcare

김현성, 류은경, 이성운

초록

영어

Recently, wearable computing and u-healthcare have attracted attention based on BAN(Body Area Network) as convergence applications of IT-BT-NT(Information Technology - Bio Technology - Nano Technology) convergence. BAN technology i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inside and outside the body for attaching the device to communicate with a wireless connection. Currently, BANs are being introduced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where the risk of mutual interferenc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can be high. Techniques developed during the evolution of cognitive radio can help increase the efficiency of spectrum usage to accommodate the rapidly growing demand for wireless BAN solutions and enhance coexistence with other collocated wireless systems. Chavez-Santiago et al. proposed a viable architecture of an BAN with practical CR features (CR-MBAN) based on ultra wideband radio technology. We review the CR-MBAN and discuss the security considerations on it.

한국어

최근 IT-BT-NT(Information Technology - Bio Technology - Nano Technology)를 접목하여 웨어러 블 컴퓨팅 및 헬스케어와 같은 무선통신 기술로 인체통신망(Body Area Network)이 주목받고 있다. 인체통신망은 인체 내부 및 외부에 부착한 디바이스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현재 인체통신망은 다른 전자장치들과 서로 간섭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비 인가대역을 활용하고 있다. 인지무선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은 인체통신망 솔루션들을 위한 다양한 요 구사항을 수용하고 동일 지역의 다른 무선시스템과의 공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펙트럼 사용의 효 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havez-Santiago등은 초광대역 무선 기술에 기반한 실질적인 인지무선 기 능을 가진 인체통신망(CR-MBAN)의 실용적인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고에서는 Chavez-Santiago등의 CR-MBAN를 살펴보고 이 구조의 보안 고려사항에 대해서 논의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2.1 유헬스케어
  2.2 인체통신망
  2.3 인지무선
 3. 인체통신망 기반의 인지무선 (CR-MBAN)
 4. 유헬스케어를 위한 인지무선 기반 인체통신망의 보안 고려사항
 5. 결언
 참고문헌 [Reference]

저자정보

  • 김현성 Hyunsung Kim. 경일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 류은경 Eun-Kyung Ryu.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이성운 Sung-Woon Lee. 동명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