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udy of detection methods for malicious code
초록
영어
It is required to cope with the malicious codes, which grow rapidly in the world wide. To detect and cope with the malicious codes which is spread out through the web sites, it is required to identify the all domains of malicious code and measure the risk factors.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isk factors for all domains of malicious codes and present the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risk factors. Through the suggested risk assessment technique, we can efficiently grasp the dangerous degree of malicious code and cope with the detected malicious codes by changing the domains from local area to entire area.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악성코드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웹 사이트 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악성 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악성 코드가 유 포되는 전 구간을 파악하고,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코드가 유포되 는 전 구간에 대해 위험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악성코드 위험도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 한 위험도 산정기법을 통하여 국지적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대응하는 기법에서 악성코드와 연관 된 전체 구간에 대해서 위험도를 산정함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악성코드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악성 코드 유포 사이트 탐지에 관한 연구
2.2 악성 코드 유포 사이트 탐지에 관한 연구
3. 악성코드 경유ㆍ유포지 위험도 산정
3.1 악성 코드 경유 및 유포 사이트의 특징
3.2 확산 위험도와 파급 위험도
4. 악성코드 경유ㆍ유포지 위험도 측정 방법
4.1 악성코드 위험도 평가 항목 및 가중치
4.2 위험 점수 측정
4.3 전체 위험지수 계산
4.4 최대위험지수 계산
4.5 경유/유포지 위험도 계산
4.6 최종 위험도 산정
5. 악성코드 경유ㆍ유포지 위험도 측정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