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play activities in 2nd grade elementary school classes. 24 play activities extracted from 18 2nd grade classes were analyzed to find out if they would embody play characteristics such as spontaneity, imagination, rules, and enjoyment. As an analysis tool, The Observer XT 10.5 was used. First, spontaneity was observed for the average of 34.33%, and was seen in the forms of preparing, questioning, presenting, interaction, and selecting. Second, imagination was observed for the average of 34.01%. Imagination in play activities was seen in the forms of imitating, giving new meanings to objects, and creative crafting. Third, rules were observed for the average of 10.74%, and were seen in the forms of explaining rules, following rules, adding rules, giving scores, and competition or contention for victory. Fourth, enjoyment was observed for the average of 11.73%. And the types of enjoyments were shown as the enjoyment related to materials, enjoyment when expressing, enjoyment when appreciating, and enjoyment related to compensation. The following result was con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play activities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spontaneity, imagination, rules and enjoyment. The play activities’ values can be acknowledged in the way that it brings leading participations of students in classes, autonomous interactions,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수업에서 하는 놀이 활동이 놀이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수업 총 18개를 대상으로 총 24개의 놀이 활동을 추 출하여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놀이 활동의 놀이 특성은 자발성, 상상, 규칙, 즐거움이라는 4 가지를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The Observer XT 10.5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 활동에서 자발성은 평균 34.33%를 차지했으며, 준비하기, 질문하기, 발표 하기, 상호작용, 선택하기의 형태로 나타났다. 상상은 평균 34.01%를 차지했으며, 흉내 내기, 새로운 의미부여, 창의적 만들기로 나타났다. 규칙은 평균 10.74%로, 규칙 설명하기, 규칙 지 키기, 규칙 변화, 점수 부여, 경쟁이나 승패가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즐거움은 평균 11.73%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자료와 관련한 즐거움, 표현할 때의 즐거움, 감상할 때의 즐거움, 보상과 관련한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2학년 수업 중 놀이 활동이 교육 활동에 주는 시 사점을 논하였다. 첫째, 자발성은 수업에서 아동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둘째, 상상은 수업에서 역할 놀이나 구성 놀이와 같은 의도적인 학습 활동의 형태로 발전되 었다. 셋째, 규칙은 교사의 역할이 크며, 이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도 관련된다. 넷째, 즐거 움은 놀이와 학습 내용의 조화로운 연결을 고려하여, 아동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할 때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놀이의 특성
2. 공통적인 놀이 특성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절차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놀이 활동의 놀이로서의 특성
1. 자발성
2. 상상
3. 규칙
4. 즐거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