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고려시기 독도ㆍ울릉도ㆍ동해를 포함한 영토 해양 정책과 인식

고려전기 동북면과 동해안의 방어체제

원문정보

A defense system of the north east area and the east coast in early Goryeo

권영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northern territory development was mainly carried out in northeast area, many Jujingun were installed in the northeast too. The most vivid period of such northeast pioneering was from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o King Munjong at a time when the invasion by the east Jurchen was rampant. The Jujingun in northeast area before King Yejong’s period were from north of Deungju through the east coast in below Jeongju and Nangrim mountain chang in the west. The Jurchen policies in the northeast by Goryeo were reconciliation and conquest. The Goryeo government incorporated the Jurchen villages into Goryeo’s camp together with continual fortress construction or carried out Gimiju expansion policy by installing Goryeo type Jujingun. However, the Jurchen conquest was finally carried out at the end of King Sukjong when Wananbu, the new emerging forces, appeared. By the Jurchen conquest in King Yejong’s reign and by installation of 9 fortresses, the territory of northeast expanded from Hamheung plain in north Jangseong to Duman River. However, while returning the 9 fortresses, it lost the newly secured territory and lost Gimiju of north Jangseong, which resulted in the loss of Goryeo’s territory. Yanggye Jujingun organized a camp force comprised of the native residents for national defense, and Bangsu force was dispatched in Namdo. Donggye Jujingun was about 1/4 of Bukgye. Bangsugn was established in Gyegyeong from each Gunsado in Namdo and took up defensive works in Yanggye Junin among 38 Ryeong with 6 Boseung and Jeongyong. When defensive system was formed in installing Jujin in northeast and Jujingun was dispatched, the east Jurchen invaded the east coastal area via sea route. Thus, Goryeo installed Jinmyeongdobuseo and Wonheungdobuseo for the defense against pirates. And Goryeo installed fortress or Su, and also installed farms for securing military provision. Meanwhile, the marine defense in southern area of East Sea was carried out by Dongnamhaedobu, which was installed in early national foundation period. Ulreungdo and Dokdo set up a relation with the Goryeo dynasty with the entry into Gochanggun war after the independent attitude toward the central government at the end of late Silla. Since then, it was called Usanguk or Usanseongju until the reign of King Deokjong taking a semi-independent status toward the Goryeo government.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and Uijong, Goryeo carried out active ruling policy by dispatching Gamgchangsa and by subordinating Ulreungdo.

한국어

고려 초기의 북방 개척은 주로 서북면 지역에서 진행되었지만 동북면 지역에도 많은 주진이 설치되었다. 동북면의 개척에 가장 노력을 기울인 시기는 동여진의 침략이 빈번했던 현종대에서 문종대까지였다. 여진정벌이 단행되는 예종 이전까지 동북면에서 주진이 설치된 곳은 등주 이북에서 정주 이남의 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의 낭림산맥에 이르는 지역이었다. 동북면에서 고려의 대여진 정책은 대체로 숙종대 이전까지는 회유와 복속에 주력하였다. 고려 정부는 지속적인 축성 사업과 함께 귀부하는 여진 촌락들을 고려의 주군으로 편입하거나 장성 밖 원근에 거주하는 여진 지역에 고려식 주군을 설치하는 기미주 확대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숙종 말기에 여진의 신흥세력인 완안부가 등장하여 남하하면서 마침내 여진 정벌이 단행되었다. 예종대의 여진 정벌과 9성의 설치로 동북면의 영역이 한때 장성 이북의 함흥평야에서 두만강 일대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곧 9성을 돌려줌으로써 새로 확보한 영토를 상실하였고, 나아가 이전에 고려의 지배력이 미치던 장성 이북의 기미주마저 잃게 되어 고려의 영역은 오히려 축소되었다. 양계 주진에는 국방을 위해 토착주민으로 구성된 주진군이 조직되고 남도에서 번상하는 방수군이 파견되었다. 동계 주진군의 병력은 북계의 1/4 정도였다. 방수군은 남도의 각 군사도에서 개경으로 번상하여 6위의 보승ㆍ정용을 구성한 38령 가운데 일부가 양계 주진에 파견되어 방수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동북면에 주진이 설치되고 주진군이 배치되는 등 방어체제가 갖추어지면서 동여진은 해로를 통해 그 이남의 동해안지역에 침입하였다. 이에 고려는 해적의 방어를 위해 수군과 관련된 기구로 진명도부서와 원흥도부서를 설치하였다. 또한 군사적으로 중요한 동해안의 요지에 성을 쌓거나 戍를 설치하였으며, 군량확보를 위한 농장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방어체제를 갖추었다. 한편 동해 남부지역의 해상 방어는 국초부터 설치된 동남해도부서가 담당하였다. 울릉도와 독도는 신라말 혼란기에 중앙정부에 대해 독립적인 자세를 취하다가 고창군전투를 계기로 고려왕조와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후에도 덕종대까지 우산국이나 우산성주 등을 칭하면서 고려 조정에 대해 여전히 반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인종ㆍ의종대에 이르면 울릉도에 감창사를 파견하거나 徙民을 시도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지배정책을 실시하였다.

목차

I. 머리말
 II.. 동북면의 개척과 영역의 변동
  1. 동북면의 개척과 州鎭의 설치
  2. 예종대의 여진 정벌과 동북면 영역의 변동
 III.. 동북면의 방어체제
  1. 州鎭軍의 조직
  2. 防戍軍의 파견
  3. 鎭溟ㆍ元興都部署의 설치
 IV. 동해안의 방어체제
  1. 동여진 해적의 침략과 방어체제의 정비
  2. 東南海都部署의 설치
  3. 고려의 울릉도 지배정책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권영국 Kwon, Young Kook. 숭실대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