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조 시단의 중국 시학 수용 양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Aspects of Joseon Dynasty Poetical Arena's Adopting Chinese Poetics

윤재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untry that influenced Korea’s literary creation tendency the most throughout Joseon dynasty was China. Among them the literary tendencies of Ming and Qing dynasti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oreign literary trends to the poetical arena of the late Joseon period. Of course, the idea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were internally growing in Joseon society, and in accordance with them the literary creation tendencies were gradually shifted. Along with the social changes, the internal energy for changes to overcome ironies and limits of the previous era’s literature was moving by itself. However, the external aspect accelerating the internal energy for changes was represented by the literary creation tendencies of China, especially those of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paper is to summarize how Korean literary world adopted Chinese poetical literary tendencies which influenced Korean classical Chinese poetry world the most, how the adopted literary tendencies functioned, and how the Korean literati of the late Joseon period reacted toward the foreign literary tendencies, focussing on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format that was the main literary format in the traditional Korean literary world. The result of examination announces that the literary tendencies of Ming and Qing imported into Joseon dynasty functioned as a stimulation to bring up new literary fashions for an era. The veneration, the homage and the will to overcome became the means to formulate new literary tendencies; and through inheriting and imitating such literary tendencies Joseon’s literati elevated the quality of the late Joseon period’s literature. Nonetheless, if the veneration and the homage toward them is simply considered as mere imitations, the various aspects of changes in the literary tendenc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cannot be explained. Rather,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e independent self-awareness and the mature inner-capability of Joseon’s literati could overcome various inherent problems of the Ming and Qing literary tendencies, adjusted them for Joseon’s climate, and eventually created their ow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Joseon’s classical Chinese poetic literature is the new re-creation of Ming and Qing literary tendencies adopted within mature literary capability and applied to Joseon’s situation of the time.

한국어

조선 전 시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학 창작 경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나라는 중국이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명(明)나라와 청(淸)나라의 문학 경향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시문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래 문학 사조였다. 물 론 조선 사회는 그 내부에서 이미 변화와 발전을 위한 의식이 배태되고 있었 고, 그에 따라 문학 창작 경향도 조금씩 변해가고 있었다. 사회의 변화에 발맞 추어 이전 시기 문학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내재적인 변화의 기운 이 그 스스로 움직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재적인 변화의 기 운에 가속도를 더해 준 외적 요인으로 중국의 문학 창작 경향, 특히 명․청나 라 문단의 문학 창작 경향의 수용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전통 시기 우리 문학계의 주류 문학 양식이었던 한시 양식을 중심으 로, 우리나라 한시 문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중국의 시문학 경향이 우리 문단에 어떻게 수 용되었고, 수용된 문학 경향은 어떤 작용을 하였으며, 그 외래 문학 경향에 조선 후기 우리 문단의 문인들은 어떻게 반응하였는가를 정리해보 고자 한 것이다. 검토의 결과는 조선조에 유입된 명․청 문학 경향이 한 시대의 새로운 문풍 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자극의 기제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들에 대한 존숭과 추종, 그리고 극복의 의지가 새로운 문학 경향을 형성하는 매체가 되었고, 이들의 문학 경향을 모의하고 답습하면서 조선의 문인들은 조선 후기 문학의 내질을 높여 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존숭과 추종을 일방 적인 모방이라고 본다면 조선 후기의 문학 경향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변화의 양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보다는 조선조 문인들의 주체적 자각과 성숙한 내적 역량이 명․청의 문학 경향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를 조 선의 풍토 아래 개변하여 자신들만의 새로운 문학을 만들어 내도록 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즉, 성숙한 문학적 역량 아래 수용된 명․청의 문학 경향을 조선 조 당대의 시대 상황에 맞추어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이 바로 조선조 한시 문학 의 실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명나라 문단의 성격과 문학 경향
 Ⅲ. 청나라 문단의 성격과 문학 경향
 Ⅳ. 조선 후기 이전 중국 시학의 수용 양상
 Ⅴ. 조선 후기 중국 시학의 수용 양상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재환 Yoon, Jaehwan.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