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후기 불교사로 본 ‘삼장’와 ‘그뎔샤쥬’의 정체

원문정보

Identity of ‘Sam-jang’ , ‘The Owner of a Temple’ that based on history of Goryeo’s Buddhism

신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esthetic consciousness in Goryeo is closely associated with Buddhism. However, Goryeo sog-yo mentioned to have Buddhistic characteristics is either or only. It is because of ’s refrain and ’s second stanza having ‘Sam-jang’ and ‘The Owner of a Temple’. In particular, ’s second stanza originally satirized Buddhism’s harmful effects but later became accepted and extended to court dance and music to have its current structural frame. It is because itself is a complete song with regard to the literatures or history of Goryeo’s Buddhism. Therefore, by separating the second stanza from and conside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this study identities ‘Sam-jang’ and ‘The Owner of a Temple’. It has been found that ‘Temple Sam-jang’ was located in Gaegyeong and King Chungryeol appointed the head monk for it. Also, it has been discovered that Ui-seon, the son of Jo In-gyu, the official interpreter, growing as seizing the power from Yüan, received a Buddhist name of ‘Sam-jang-beop-sa’ from Yüan’s imperial family, and there were frequent exchanges with the royal family or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and those around him evaluated him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It means that may have been created with the clues of a real event. ‘Sam-jang’ metaphorizes Ui-seon’s Buddhist name, and it is personified with the name of ‘The Owner of a Temple’. We can see that is a critical song pointing out Ui-seon, that is, Sam-jang-beop-sa, who enjoyed power replying on Yüan’s power and shaved his hair but wore silk clothes. As it became a popular song, it turned out to be a song pointing out Buddhism’s evil effects. As compiled with similar songs criticizing the society in general, it became , and in Chosun, it came to be contained in 『Akjang-gasa』. The behavior of Ui-seon taking benefits from Goryeo’s abnormal royal family was substituted with the unreligious behavior of ‘The Owner of Sam-jang’, and it became compatible with the abnormal situations in the society in general and came to acquire criticism to the social conditions.

한국어

고려의 미의식은 불교와 깊이 관련된다. 그런데, 불교적 성격의 고려속요는, <이상곡>과 <쌍화점>을 거론할 뿐이다. <이상곡>의 후렴구와 <쌍화점> 2연의 ‘삼장’와 ‘그 뎔 샤쥬’ 때문이다. 특히, <쌍화점> 2연은, 불교의 폐단을 풍자한 <삼장>이었다가, 궁중무악으 로 수용․확장되어 현재의 구조틀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과 고려 불교 사를 고려할 때, <삼장> 자체로 완결된 노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2연을 <쌍 화점>에서 분리하고, 고려후기 불교의 사적 전개과정을 고려해 ‘삼장’와 ‘그 뎔 샤쥬’의 정체를 검토했다. 개경에 ‘삼장사’가 있었고 충렬왕이 주지를 임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원 세 력을 업고 성장한 통역관 조인규의 아들 의선이 원 황실에서 ‘삼장법사’란 법명 을 받았고, 왕실이나 당대 지식인과 빈번한 교류가 있었으며, 측근도 그에 대 해 이중적 평가를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실재 사건을 실마리로 <삼장>이 창작 되 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삼장’는 의선의 법명을 은유한 것이고, ‘그 뎔 샤쥬’로 인격을 부여하여, 원 세력에 기대어 권세를 누린, 머리는 깎았지만 비단 옷을 걸친 삼장법사 의 선을 지목한 비판적 노래가 <삼장>임을 알 수 있다. 이 노래가 대중의 노래가 되면서, 불교의 폐단을 지적한 노래가 되고, 사회 전반의 문제를 비판하는 유 사한 노래와 함께 엮여 <쌍화점>이 되고, 조선에 와서 『악장가사』에 실리게 된 것이다. 비정상적인 고려왕실을 이용해 이득을 차린 의선의 행위는 ‘삼장사 사주’의 비종교적 행위로 치환되고, 사회 전반의 비정상적 상황과 병립하게 되면서 세 태 비판성을 획득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남녀상열’에서 <쌍화점> 2연 꺼내기
 Ⅲ. ‘삼장’와 ‘그뎔샤쥬’의 정체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명숙 Shin Myung-soo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