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relationships among God image, sham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experienced among Caucasian and Korean Christian college students. Toward this aim, it was hypothesized that levels of shame may be higher in Korean students than in Caucasian students; however, shame may have less nega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Koreans compared to that of Caucasians. This study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test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hrough December in 2008 with Caucasian(138) and Korean(133) college students from private Christian universities in Southern California and South Korea as well as several Korean churches in South Korea. For both samples, the God image as measured by the God Image Scales(GIS)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as measured by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3 Short Version(TOSCA-3) and the Korean Shame Scales(KSS)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as measured by the Symptom Check List-90(SCL-90). Shame also had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The direct effect of shame on psychological distress was stronger for the Caucasians than the Koreans for the KSS Disgrace; however, the direct effect of shame on psychological distr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cultures for the TOSCA shame-proneness. Consequently, Sham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God image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for both sampl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님 이미지, 수치심, 그리고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를 백인과 한국인 기독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학생들의 수치심이 미국인 학생들의 수치심보다 높을 것으로 가정되지만, 수치심이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오히려 한국인 학생들에게 더 적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에서 12월 사이 미국 California 주에 소재한 기독교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138명)과 한국에 있는 기독교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교회에 출석하는 대학생(13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두 집단 모두 하나님 이미지(GIS)가 수치심(TOSCA-3, KSS)과 심리적 증상(SCL-90; 우울, 불안, 대인관계 예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 역시 심리적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한국인보다는 백인대학생들에게 한국 수치심 척도의 불명예(KSS Disgrace) 영역에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수치심 경향성 (TOSCA Shame Proneness)에서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수치심이 하나님 이미지가 심리적인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I. Introduction
II. Body
1. God Image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2. Shame and Psychological Distress
3. Method
III.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