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史通』의 구조와 역사비평

원문정보

The theory of Critic and the Structure of Shitong 史通

『사통』의 구조와 역사비평

오항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essay I tried to understand Shitong 史通, which was the introduction to history in the world, under three aspects. First, in view of the birth of the authentic record(實錄) in early Tang Dynasty and the Shitong, second, the Structure of Shitong, and third, the principle and essence of historiography and critic suggested in Shitong. With the development of bureaucracy, the record of administration was producted massively. So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tanding organiz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record. Liu zhi-ji(661~721) regarded the authentic record compilation as the retrogress of authenticity of historical materials. Because of the group compilation of the authentic record, it was impossible to guarantee the confidentiality of the record and the integrity of the guideline of work. This was a main reason why Liu zhi-ji wrote his book, Shitong. Shitong consisted in two parts, the inner part(內篇) and the outer part(外篇). I analyzed the inner part with six categories. ① the origin and the kind of histories, ② the structure of period-biography histories(紀傳體), ③ the style of history, ④ the method and principle of historiography, ⑤ the qualification of historians, ⑥ the motive of his writing. The outer part of Shitong was the supplementation and practice of the inner par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Shitong, I studied the theory of critic and historiography of Liu zhi-ji. The Shitong was written in the age when the historians were the officials of the dynasty, so Liu zhi-ji emphasized the roll and responsibility of the court-historians. However, even though he mentioned the national history, his national history wa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history in modern meaning of the nation-state. Rather, the national history meaned the national archives for him. This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notion that history continue as the transfer of civilization beyond the dynasty. And this is why I recall the Shitong to answer the question of history in general.

한국어

본고에서는 세 측면에서 『사통』에 접근하였다. 첫째, 『사통』의 탄생과 실록 편찬이라는 사학사적 관점이었다. 둘째, 『사통』의 구조에 대한 논의였다. 셋째, 『사통』에서 제시한 역사서술의 원칙과 기준, 그리고 사료 및 역사서 비평을 살펴보았다. 관료제의 발달로 문서 생산이 많아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실록(實錄) 편찬은 사관의 임용과 관청(官廳) 자체에 변화를 가져왔다. 유지기가 볼 때 자격미달의 사관이 임용되고, 집단 편찬은 비밀 보장을 어렵게 했으며, 무원칙한 편찬 지침이 난무하였다. 유지기는 이런 현실을 보고 『사통』저술을 시작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실록 편찬이라는 사건은 유지기가 보기에 퇴행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비극적 상황이었다. 그 문제의식이 ‘역사학개론’인 『사통』을 탄생시켰고, 유지기가 실록 편찬에서 우려했던 문제점은 후일 조선시대 실록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극복되었다. 본고에서는 『사통 내편』의 구조를 6범주로 나누었다. 범주①은 역사서의 연원과 종류이다. 범주②는 기전체의 구조이다. 범주③은 그 구조를 에워싸고 역사가가 선택하고 구성하는 역사서의 양식(Style)에 대한 논의이다. 범주④는 역사서술의 방법과, 기준, 원칙에 대한 논의이다. 범주④ 안에서도 두 부분으로 나뉘는 것으로 보았는데, 유지기가 말한 삼장지재(三長之才) 중 학(學)과 식(識)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범주⑤는 역사가의 자격, 범주⑥은 집필 동기이다. 『사통 외편』은 이러한 『사통 내편』구조의 보론(補論)이자 구체적인 사례와 실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통』은 유지기의 역사론이고 역사비평이었다. 그리고 그의 역사비평론은 『사통』의 구조와 상응하여 전개되고 있었고, 본고의 서술도 그 흐름에 따라서 살펴보았다. 첫째, 역사서술 비평. 둘째, 역사가의 양식. 셋째, 역사비평의 실제가 그것이다. 실습 부분인 「점번」 편에서는 직접 빼야할 글자와 넣어야할 글자까지 표시하며 논의를 전개하고 있어서, 마치 학생들에게 첨삭을 해주는 듯한 스승 유지기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었다. 『사통』이 저술된 시기에는 주로 정부 관원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사관의 사유는 국가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그래서 유지기는 국사(國史)의 권위를 우선시했다. 그러나 그럴 때조차도 국가보다 언제나 인간 문명의 전달자로서의 역사가인 그에게 상위개념이었다. 이 점이 지금까지 그의『사통』이 역사학의 보편적 질문에 대답해줄 수 있는 이유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실록의 탄생과 『사통』
 3.『사통』의 구조
  1) 『사통』의 내편과 외편
  2) 『사통』의 主-補 구조
 3. 『사통』의 역사비평
  1) 기전체 역사서 비평
  2) 역사서의 양식 비평
  3) 역사서술의 기준과 원칙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항녕 Oh Hang-nyeong. 전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