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星湖의 易辭解釋에 있어서의 文辭論的인 特徵

원문정보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Lee Ik's Interpretation of I Ts'u(易辭)

성호의 역사해석에 있어서의 문사론적인 특징

김인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I ts'u interpretation by Seong Ho Lee Ik (星湖 李瀷, 1681~1763). The main finding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Seong Ho's interpretation remedied the contradictions and illogicalities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had overlooked and presented rational views by properly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linguistic context and the force of literary style of the text of I Ching and its inherent rhetoric. Examples include his accounts of Li kua six in the third place hsiao ts'u, Kou kua six at the beginning, I kua nine at the top, and Kun kua nine in the second place hsiao ts'u. Second, Seong Ho's interpretation brought reasonable light to the meanings of the sets of kua hsiao ts'u not only by looking into their internal logic but also by complementing them through inter-comparison between the sets of kua hsiao ts'u from different kuas. Seong Ho was self-satisfied with this accomplishment in many ways. Typical examples involve his accounts of Pi kua six in the second place hsiao ts'u and Ting kua nine in the third place hsiao ts'u Third, Seong Ho's interpretation defined the meaning of each kua by interconnecting kua ts'u and hsiao ts'u and matched it with historical facts. This accomplishment is what makes Seong Ho's interpretation of I Ching very exceptional by going beyond previous interpretations that simply connected kua ts'u and hsiao ts'u in an isolative, flat manner. Examples include his accounts of Ming I kua, Sheng kua, and Ko kua, and among them, that of Ko kua is particularly notable.

한국어

이 논문은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역사해석(易辭解釋)에 있어서의 문사론적(文辭論的)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그 특징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주역(周易)』경문의 어맥(語脈)이나 문세(文勢), 혹은 경문 속에 내재한 수사법(修辭法)을 적의(適宜)하게 파악, 활용함으로써 이전의 해석이 간과하였던 모순이나 불합리한 점을 바로잡고, 합리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속하는 경우로는 리(履)괘 육삼 효사와 구(姤)괘 초육, 익(益)괘 상구, 곤(困)괘 구이 효사 등에 대한 해석을 꼽을 수 있겠다, 둘째, 괘효사의 의미를 그 내적인 논리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괘의 괘효사와 상호비교하고 보족(補足)함으로써 온당하게 구명(究明)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은 성호 스스로도 자득(自得)한 바가 많았던 부분으로 인정하고 있기도 한데,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경우로는 비(賁)괘 육이 효사와 정(鼎)괘 구삼 효사를 들 수 있겠다. 셋째, 괘사와 효사의 상호 연계하에 한 괘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을 역사적(歷史的) 사실과 대응시켰다는 점이다. 이 점은 단순히 괘사나 효사를 역사적 사실과 고립적, 평면적으로 연결시켜 해석하였던 이전의 방식을 뛰어넘는, 성호의 『주역』해석방식이 갖는 탁월한 면모라 할 수 있다. 이에 속하는 예로는 명이(明夷)괘, 승(升)괘, 혁(革)괘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혁괘는 그 대표적인 경우로 꼽을 수 있겠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語脈·文勢의 適宜한 把握에 의한 합리적 견해
  1) 易辭의 微妙性을 闡發함
  2) 易辭 속 修辭法의 活看
 3. 卦爻辭의 相互參證에 의한 新釋
  1) 經文과 註釋의 不一致를 訂正함
  2) 一貫된 經文主旨를 제시한 新釋
 4. 歷史的 事實과의 對徵에 의한 解釋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철 Kim In-cheol. 고려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