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Viewpoints of Confucian Scholars toward Buddhism during Late-Joseon Period

박해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arge number of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were published during late-Joseon period. These collections usually have a preface written by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hese collection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evenly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Among those prefaces, much mention about Buddhism and Buddhists directly, having similar contents. The fact that similar opinion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is uniformly recorded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may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oward Buddhism and Buddhists. Circumstances of Buddhist community during late-Joseon period were double-sided with these two movements happening simultaneously. First, oppressive policies against Buddhism which were launched with the foundation of Joseon state were in progress. Seco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uddhist monks who could read and write classical Chinese, personal communication among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were active and widespread. Amidst such circumstances, opinions of Confucian scholar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recorded in those prefaces are as following. First, they downgrade Buddhism as a teaching which negates Confucian morality, absorbed in nihil and annihilation. From this viewpoint, they thought of Buddhism as an object of one-sided criticism and expulsion, not something to be researched or talked about. Second, in the cases when the monk personally practiced Confucian virt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or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they praise the monk as “outwardly Buddhist but inwardly Confucian.” This is fundamentally denying Buddhist values and approving Confucian values only. Moreover, some of the Confucian scholars speak of blasphemous comments toward Buddhism as they lament the monks to have become a part of Buddhist community. Therefor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only approved of the verity and existence of Confucianism but did not tolerate the existence of another thoughts or teachings. Thus they looked upon Buddhism and Buddhists from the extremely exclusive stance of this absolute Confucianism. Viewpoint of these Confucian scholars towards Buddhism were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exclusive consciousness toward heresy which was gradually reinforc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beginning from thoughts of Mencius, then passed down to Dong Zhongshu, Han Yu, culminating in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fact that Buddhist community oppressed by secular powers could not stand against but transformed itself as nationalistic Confucian Buddhism promoting Confucian val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may be another element which fostered such viewpoint. In short, th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did not only downgrade and expel Buddhism from the aspect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ut denied to approve of Buddhism as an independent tradition of thinking from their deepest level of conscience. This may be concluded that in the basis of this viewpoint there was absolute Confucian paradigm which advocate that all men should be Confucian and nothing else.

한국어

조선 후기에는 많은 승려들의 문집이 간행되었는데, 이들 문집에는 대체로 당시 유학자들의 서문이 붙어있으며, 전 시대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 서문들 가운데 상당수는 불교와 불교인에 대해 직접 언급하고 있는데, 그 내용이 대체로 비슷하다. 이처럼 조선 후기 전반에 걸쳐 비슷한 견해가 두루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은 그 시대 유교인들의 보편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선 후기 불교계의 상황을 살펴보면, 첫째 조선왕조의 시작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온 불교탄압정책이 계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고, 둘째, 한문을 읽고 쓸 수 있는 승려들의 증가와 더불어 사대부들과 승려들의 개인적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이중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집 서문에 나타나는 유학자들의 불교와 불교인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를 허무적멸에 빠져 유교적인 인륜을 저버리는 가르침으로 비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불교를 연구나 대화의 대상이 아니라 일방적인 비난과 배척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승려가 개인적으로 임금에 대한 충성이나 부모에 대한 효도 같은 유교적인 덕목을 잘 실천하였을 경우, ‘겉은 불교인이지만 속은 유교인’이라는 식으로 칭찬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불교적인 가치를 부정하고 오직 유교적인 가치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아가 더 심하게는 승려들이 불교에 몸담게 된 것을 안타까워하는, 매우 불교모독적인 발언까지도 서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은 유교의 진리성과 존재성만을 인정할 뿐 다른 사상의 존재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극히 배타적인 유교절대주의의 입장에서 불교와 불교인들을 바라보고 있었다고 하겠다.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의 이러한 불교관은 기본적으로 맹자 이후 동중서 한유 성리학을 거치면서 점점 더 강화되어 나타난 이단배척의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렇지만 유교적인 세속권력의 탄압 아래 놓여 있던 조선불교계가 불교적인 정체성 위에 이에 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임금에 대한 충성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앞세우는 등 국가주의적이고 유교적인 불교로 변모한 것 또한 주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요컨대 조선 후기의 유학자들은 단지 정치/경제/사회적인 관점에서만 불교를 폄하하고 배척했던 것이 아니라 의식의 가장 깊은 곳에서부터 불교를 하나의 독립적인 사상전통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였으며, 그 바탕에는 모든 인간을 유교적 인간으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당위적인 유교절대주의적 사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1) 시대적 상황
  2)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3) 그들의 불교관을 형성하게 된 원인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해당 Park Hae-dang. 한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