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慶州 雁鴨池 中心建物 創建瓦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unding Roof Tiles of the Main Building Site Reported from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in Gyeongju

경주 안압지 중심건물 창건와 연구

조성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the building sites reported in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publication, there is a site with buildings, situated along an N-S axis, located to the west of the pond. It was argued that this site represented the main buildings of the Anapji complex, and among the roof tiles recovered during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certain examples were assumed to be the founding roof tiles of the main buildings. Such founding roof tiles comprise concave roof tiles with the ‘Uibong-sanyeon-gaeto’’(儀鳳四年皆土) inscription, concave roof-end tiles with arabesque design,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and monster-mask roof-end tiles. These founding roof tiles are historically valuable examples of Silla roof tiles and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perfection, in terms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them incomparably superior to the Silla roof tiles of the previous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ir emerge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date to the mid-seventh century according to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origins of the concave roof-end tiles with overlapping lotus design and convex roof-end tiles with arabesque design to th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the Iksan area of the Baekje Kingdom. Monster-mask roof-tiles were assumed to have derived from the Monster-mas kroof-tiles of the Goguryeo Kingdom but this association needs to be examined more closely. Finally, the concave roof tiles decorated with geometric patterns made using a short paddle could not be identified among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Silla. Therefore, it may be suggested that this type of roof tile is characteristic of Unified Sill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 and Goguryeo cultures took place following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Elements of this cultural unification can be observed in the founding roof tiles of main buildings at Anapji.

한국어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에 보고된 건물지 중, 연못 서쪽에 남북방향으로 자리 하고 있는 건물지가 있다. 필자는 이 건물지를 안압지 내 중심건물지로 보고, 안 압지 발굴조사보고서에 보고된 기와들 중에서 이 중심건물 창건와를 추정한 바 있 다. 창건와는 “儀鳳四年皆土” 명문이 있는 암키와, “儀鳳四年皆土” 명문이 있는 당초문암막새, 중엽연화문수막새, 귀면와이다. 이 안압지 중심건물 창건와는 이전시기의 신라기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한 문양구성이나 제작기법을 갖춘 신라기와 역사상 한 획을 긋는 자료 이다. 본고에서는 그 출현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 7세기 중엽경 삼국시대 기와들 을 종류별로 일별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엽연화문수막새와 당초문암막새는 백제 익산지역 출토 막새류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고, 귀면와는 앞으로 치밀한 검토가 요구되지만 고구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귀면와에서 그 기원을 추정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단판 기하학문 타날문양 암키와는 신라를 포함한 삼 국 어디에서도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없어 통일신라 독창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의 결과, 안압지 중심건물 창건와에서는 삼국통일 이후 백제와 고구려 문화를 융합한 문화적 통일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I. 序論
 II. 雁鴨池 中心建物 創建瓦 設定
  1. 중엽연화문수막새(그림2)
  2. 당초문암막새(그림3)
  3. 귀면와(그림4)
  4. 암키와(그림5)
 III. 雁鴨池 中心建物 創建 直前의 瓦
  1. 수막새
  2. 암막새(그림 9,10)
  3. 귀면와(그림 11)
  4. 암키와
 IV. 雁鴨池 中心建物 創建瓦의 出現 背景
  1. 중엽연화문수막새
  2. 당초문암막새
  3. 귀면와
  4. 암키와
 V.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윤 Cho, Sung-Yoon.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