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취미발레 수강생과 발레전공 수강생의 발레용어 인식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for amateur ballet dancers’and ballet majors’ cognition of the ballet terminology

이영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awareness of ballet terminology and current state of the meaning, image and pronunciation to make use of ballet terminology correctly and vitally in doing ballet,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ballet terminology lesson. To get results of this study, methods were set up as follow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composed of amateur ballet students. And 55 people belonging to first group were surveyed. The Second group was composed of ballet majors. And 55 people belonging to second group were surveyed. The primary survey investigated by interest T-test to examine in ballet and cognition of the ballet terminology for two groups. The secondary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test to examine image and pronunciation cognition of the ballet terminology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ballet terminology class. The Results show that image cognition of the ballet terminology of ballet majors was significantly higher(t(108)=-5.29, p<.001) than amateur ballet students, but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ballet terminology class was higher(t(108)=2.40, p<.05) in the group of amateur ballet students than ballet majors.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onunciation cognition (t(108)=-.862, p>.05) of the ballet termin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취미 발레 수강생들과 발레전공 수강생들의 발레용어 인식도와 의미, 이미지, 발음에 관한 현황을 알아보 고, 발레용어의 수업에 필요성을 인식하여 발레를 수행하는데 발레용어를 올바르고 필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 구하고자 비교분석 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방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자는 2집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는 취미발레 수강생 55명과 두 번째는 발레 전공 수강생 55명을 대상으로 설 문하였다. 1차 설문으로 취미 발레 수강생과 발레 전공 수강생을 설문하여 발레와 발레용어 관심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하여 1차적으로 t-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차 설문으로는 두 집단의 발레용어 이미지 인식, 발레용어 발음 인식, 발레용어 수업의 필요성 인식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 과, 발레용어 이미지 인식은 발레전공수강생 집단이 취미발레 수강생 집단보다 (t(108) =-5.29, p<.001)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발레용어 수업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취미발레 수강생 집단이 발레전공 수강생 집단보다 (t(108)=2.40, p<.05)로 높았다. 두 집단 간 발레용어 발음 인식에는 (t(108)=-.862, p>.05)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대상
  3. 절차
  4. 분석
 결과 분석
  1. 1차 분석
  2. 2차 분석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애 Lee, Young-Aie. 세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