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이미지텔링의 관점에서 본 마왕퇴(馬王堆)의 T형 백화(帛畵)

원문정보

从图像叙述法(Image-telling)的观点看马王堆T形帛画

종전휘, 문현주, 박치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미지텔링은 최근 문화콘텐츠 담론에서 빈번히 언급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처럼 트렌디한 개념도 아니며 특정 목적 하에서 생산된 담론이 아니다. 이미지텔링은 실제 스토리텔링과 마찬가지로 인류의 긴 역사와 함께 존재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지텔링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미지텔링과 스토리텔링에서 ‘텔링’이 가진 의미와 역할의 차이가 무엇인지가 밝혀져야 할 것이며, 그 소재이자 표현의 결과물인 ‘이미지’와 ‘텍스트’에 대한 구분도 병행(竝行)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가 중국 고대 장례문화 중 의식(儀式)의 측면에서 볼 때 그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장사(長沙) 마왕퇴(馬王堆)의 T형 백화(帛畵)를 분석 사례로 선택해 이미지텔링과 연계시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백화 이미지 속에는 ‘텔링’의 층위가 다양하게 함장(包裝)되어 있다. 일정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백화 이미지 속에 ‘감추어진 의미(signifié)’를 다각도로 추적하면서 우리는 백화가 곧 이미지텔링의 발현체(發現體)라 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지는 현대의 비주얼 컬처 시대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있어서도 중요한 개념이지만, 소위 이미지의 소비시대에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반성하는 차원에서도 간요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백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이미지의 원형적 의미와 이미지텔링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부각시키는데 주력해보았다.

중국어

本文介绍了近来若干篇论文中所提出的新概念‘图像叙述法(Image-telling)’的相关论述,并区分了它的意义及价值。为了更明确地理解图像叙述法,首先必须搞清楚图像叙述法(Image-telling)和故事叙述法(Story-telling)中‘叙述(telling)’所代表的意义和所担当角色的差异是什么,同时对于作为素材、表达方式、最终结果的‘图像(Image)’和‘文本(Text)’ 也必须加以区分。 图像叙述法并不是像故事叙述法那样只局限于一种流行概念或在特定的目标下而产生的一种话语。图像叙述法和人类历史一起流传,相比故事叙述法具有更悠久的历史,同时又能从新的角度去解释图像的概念。基于这些特点,图像在说明视觉文化时代的过程中是非常重要的概念,相反,在所谓图像消费时代却被我们所忽视,就好像硬币的两面一样。 本文中作者选择长沙马王堆T形帛画作为分析案例。T形帛画在中国古代葬礼文化中仪式的侧面具有非常重要的价值,这也是将它与图像叙述法关联起来尝试进行新的解释的理由之一。在本文中我们从多个角度来追寻帛画中的所包含的‘叙述(telling)’的层次位置,最终发现在已定型的图像中所蕴藏的意义。在这个过程中,我们不仅能充分确认帛画是图像叙述法的具体表现方式,而且能推断出在古代文化中是如何运用图像叙述法的,同时推测出在文化产业领域图像叙述法所具有的价值和作用以及应用方案。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문화콘텐츠학에서 이미지텔링과 스토리텔링의 개념 정의 및 범주
  1. 이미지와 이미지텔링,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2. 이미지와 텍스트, 그리고 추상화
  3.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 그리고 문화콘텐츠
 Ⅲ. 고대 중국 장례 문화에서 백화의 의미와 이미지텔링적 가치
  1. 고대 문화유산과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텔링적 상상력
  2. 고대 중국의 장례 풍습과 백화의 의미와 역할
 Ⅳ. 이미지텔링 관점에서 본 장사 마왕퇴의 T형 백화
  1. 마왕퇴의 T형 백화가 갖는 가치와 의미
  2. T형 백화 이미지에 함유된 고대인들의 사상과 관념
  3. 이미지텔링 관점에서 본 T형 백화의 의미와 가치
 Ⅴ.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종전휘 钟箭晖. 한국외국어대학교
  • 문현주 文贤珠. 중국 조장대학교
  • 박치완 朴治玩.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