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선시(禪詩)의 적기어법(賊機語法)과 영시(英詩)

원문정보

Buddhist Synecdoche(賊機語法) of Zen and English Poetry

설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is well known, metaphor has a powerful and touching function as a rhetoric. Its equation is expressed like 'A=B', for instance, the phrase 'My mind is a lake, you come to me on your boat.' In this poetic sentence, the mind is compared to a lake.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to use that metaphor as a way of manifesting one's own feeling for his/her lover. But there is much more eccentric rhetoric called the 'Buddhist Synecdoche'(賊機語法). Its key point is characterized as 'A=non A' is the its key point. So very often the Zen poetry(禪詩) has abnormal sentences and non-realistic meanings. Yet we can inquire their deep and hidden meanings through the unusual sentences. This way, one wants to seek after the truth, but it is difficult to define that in one way. And there is no fixed way to realize the ultimate reality as well. Therefore the Buddhist Synecdoche can be one solution for perceiving the truth, even if it seems to be somewhat absurd and difficult. Some English poetry has a little bit similar effect like the Zen poetry. But they have much different style from the point of expressing their meanings. Most of all English poetry have normal sentences, and they are more communicative than those of Zen poetry. Anyway both of them have a common ground aiming at revealing the poetic profound truth.

한국어

잘 알려진 대로, 은유는 강력하면서도 감동적인 기능을 지닌 수사법이다. ‘A=B’로 표현되는 은유법 등식의 한 구절을 예로 들면,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배를 저어 오오’ 가 있다. 이 문장에서 마음은 호수에 비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인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은유가 아주 효과적이다. 그런데 훨씬 특이한 수사법으로 적기어법(賊機語法)이라는 것이 있다. ‘A=non A’ 라는 등식이 핵심이다. 그래서 선시(禪詩)에서는 종종 비정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그러한 정상적이지 않은 표현법을 통하여 사물과 존재의 깊이 숨어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진리를 추구한다. 그러나 한 가지 방식으로는 그것을 규명하는 것이 어렵다. 궁극적 실재를 깨닫는 데에는 고정된 방식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적기어법이 진리를 간파하는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비록 표현방식이 다소 부조리하고 어렵게 보이더라도 말이다. 영시(英詩) 일부도 선시와 유사한 효과를 지니는 것이 있다. 그렇지만 표현방식의 관점에서는 상당히 다르다. 대부분의 영시는 정상적 문장을 갖추었기에 선시보다는 소통이 잘 된다. 어떻든 간에 선시와 영시는 둘 다 심원한 시적 진리를 드러내고자 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영시 몇 편과 뽈 발레리
 Ⅲ. 선시와 적기법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설태수 Sul, Tae Soo. 세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