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금산조의 음조직 연구 - 김동진류 대금산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search on Tonal Structure of Daegeum Sanjo -Focus on Daegeum Sanjo in Kim Dongjin School-

안성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onal structure of daegeum sanjo. However, in those researches in many cases there was a division between ujo and gyemyeonjo but there was no mention of phyeongjo. In this research, the tonal structure of daegeum sanjo in Kim Dongjin school has been analyzed and the ujo and phyeongjo that were not clarified in the basic researches have been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onal structure of jinjangjo in daegeum sanjo of Kim Dongjin school consists of ujo in G, phyeongjo in B flat, gyemyeonjo in C, gyemyeonjo in F, gyemyeonjo in C, gyemyeonjo in F and gyemyeonjo in C. In jungmori, there is a minor change of jo (scale) into ujo in G, phyeongjo in B flat, gyemyeonjo in C. The tonal structure of jungjungmori is ujo in G, phyeongjo in F, phyeongjo in B flat, gyemyeonjo in C, gyemyeonjo in F, gyemyeonjo in C, ujo in G, gyemyeonjo in C, and jajinmori consists of gyemyeonjo in C, ujo in G, gyemyeonjo in C. In this research, ujo and phyeongjo that were not analyzed in the basic researches on daegeum sanjo have been clearly distinguish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jo and phyeongjo is that there appears a clear difference in the function of scale and tone. In ujo, the central tone is G and it corresponds to ‘La’ in La-Do-Re-Mi-Sol scale, and there appears a glissando in D, F, and B flat tone. In phyeongjo, the central tone is F and it corresponds to ‘Sol’ in Sol-La-Do-Re-Mi scale, and there appears a glissando in G and D tone. The characteristics of ujo and phyeongjo, clarified in this research, is not limited only to daegeum sanjo in Kim Dongjin school but it is similarly used in other styles of daegeum sanjo. Besides, it is expected that 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sanjo music will be of help in research on sanjo for other instruments.

한국어

지금까지 대금산조의 음구조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중심음 설정의 문제나 시작음과 종지음의 역할 등 음구조를 분석하는 기준들에 대한 견해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김동진류 대금산조 분석을 통하여 우조과 평조의 선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김동진류 대금산조 진양조의 음구조는 g우조, b♭평조, c계면조, f계면조, c계면조, f계면조, c계면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모리는 g우조, b♭평조, c계면조로 조변화가 단조로운 편이다. 중중모리의 음구조는 g우조, f평조, b♭평조, c계면조, f계면조, c계면조, g우조, c계면조로 되어 있으며, 자진모리는 c계면조, g우조, c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조를 라․도․레․미․솔로, 평조를 솔․라․도․레․미로 분석 하였다. 이것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평조는 ‘솔선법’이라는 것과도 일치하며, 우조를 라․도․레․미․솔로 표시하는 것은 김희조와 김영재 등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산조 협주곡의 우조 부분에서 ‘라’음을 주음으로 표기하는 것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낸 우조와 평조의 특징은 김동진류 대금산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대금산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조음악이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악기들의 산조 연구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안성우 Ahn, Sung-Woo. 한양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