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rough direct influence from digital media, the ability of media language becomes very important communication ability in our daily language life, and in Korean education, it is required to teach systemic and practical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improving this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trying to analyze curriculum of 2011 middle school education for examining the education condition of media language area in Korean subject of middle school and on the basis of learning elements from ‘explanation about achievement standards of contents’, after selecting 4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it was also trying to compare and analyze units in relation to media language. In the curriculum of 2011 middle school, media language area was mixed in 3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of units carrying out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n respect of ‘fidelity of using curriculum’, ‘validity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activity considering integrated areas’, ‘propriety and diversity of media materials’, there are no textbooks which are suitable to all 3 standard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extbook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rough approaches and recognition about media language education in spite of sam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trying to suggest learning activities which could use curriculum maximally, consider the features of integrated area, and has suitable production activities. Moreover, it was also trying to suggest the media which is suitable to these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is study becomes advisable education method in media language area for a balance between ‘curriculum - textbook - classroom field’ and improving media language ability.
한국어
디지털 매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매체언어 능력은 중요한 소통 능력으로 자리 잡았고, 국어교육에서는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 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매체언어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중 학교 국어과 매체언어 교육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011 중학교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내용 성취 기준에 대한 해설’에서 추출한 학습 요소를 근 거로 검정 교과서 4종을 선별하여 매체언어 관련 단원을 비교․분석하였다. 2011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세 영역의 성취 기준에 매체언어가 통합되어 드러났다. 관련 성취 기준이 실행된 단원 의 학습 활동을 ‘교육과정 반영의 충실성’과 ‘통합 영역을 고려한 수용과 생 산 활동의 타당성’, ‘매체 자료의 적절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이 세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킨 교과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동일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집필되었음에도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 과 접근 방식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교과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본고는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고, 통합 영역의 성격을 고려 한 수용과 생산 활동이 타당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 활동과 이러한 활 동에 적합한 매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과정-교과서-교실 현장’ 이 균형을 이루고, 매체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매체언어 교육의 방안이 되길 기대해 본다.
목차
2. 매체언어 교육 구현 양상
3. 바람직한 매체언어 교육을 위한 제언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