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더제/-했더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adeoje/-haetdeoje’

김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eolsuga babeul meogeotdeoje?’ is a kind of Gyeongsang-dialect. ‘-Deoje’ in ‘Cheolsuga babeul meogeotdeoje?’ is ungrammatical. But Gyeongsang-dialect speakers from less than thirties are often use these expressions. ‘-Deoje’ represents that:When speakers ask about an event, (a) notify listener of assuming that the proposition is true, (b) notify listener of assuming which listener noticed at some point in the past that the proposition is true, (c) notify listener of assuming that listener will deliver the proposition which listener notice, based on the time when listener notice the situation (d) express the expecting modality that listener will answer that all of the above assumptions is truth. In this case, ‘-deoje’ represents that speakers assume that the event is true, and the modality that listener noticed the situation at some point in the past is true, too. Therefore it is ungrammatical and awkward because the modality essentially belongs to ‘listener’, so others never know. Nevertheless, if the expression of ‘-deoje’ is writte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eople who use it ‘-deoje’ want to get the peace of mind of intimacy, strongly by saving the ‘sincerity’ or ‘truth’ burden, sharing ‘recognized’ or ‘experience’. ‘-Deoje’ already destroying the grammar itself, but has its own regular constraints. It is the same constraints that is constraints when ‘-deo-’ is used, and that constraints are kept by the speakers naturally use ‘-deoje’.

한국어

표준어의 ‘*철수가 밥을 먹었더지?’에 준하는 경상 방언인 ‘철수가 밥을 먹었더제?’에서 ‘-더제’는 비문법적인데, 이러한 표현이 30대 이하의 경상 방언 화자에게서 많이 발견되고,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다. ‘-더제’는 화자가 어떤 사태를 물음에 있어, (ㄱ)[사태]를 참이라고 가정 함을 알리고, (ㄴ)‘청자도 [사태]가 참임을 발화 이전의 특정 시점에 알아차 렸으리라’고 가정함을 알리고, (ㄷ)‘화자’는 ‘청자’가 알아차린 [사태]를, ‘알 아차린 시점을 기준으로’ 전달해주리라 가정함을 알려, (ㄹ)‘청자’가 위의 가정 모두에 대해 참이라고 대답하기를 기대하는 태도를 드러낸다. 이때, ‘-더제’는 ‘화자’가 ‘사태의 진위’에 대해 가정할 뿐만 아니라 ‘청 자가 사태를 과거의 어느 시점에 알아차렸다’는, 본질적으로 청자에 속해 타인이 알 수 없는 부분을 참이라고 가정하여 청자의 동의를 구한다는 점 에서 비문법적이고 어색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제’라는 표현이 쓰인다면 그것은 ‘-더제’를 사용 하는 사람들은 ‘진실’이나 ‘진리’를 나누는 부담감을 덜고 ‘인식’이나 ‘경 험’을 공유함으로써 친밀감, 안도감을 얻으려는 심리를 강하게 가졌다는 뜻 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런데 ‘-더제’는 그 자체로 이미 문법을 파괴하였지만, 그 나름대로의 규칙적인 제약이 있다. 그것은 ‘-더-’가 쓰일 때의 제약과 동일한 제약이 며, 이 제약은 ‘-더제’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화자들에게서도 지켜진다.

목차

1. 서론
 2. ‘-더-’와 ‘-제’의 의미와 쓰임
 3. ‘-더제’의 의미와 쓰임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중수 Kim, Jung-su.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과정 수료, 하단중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