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교육/스포츠재활

경기에어로빅 여자선수의 비만이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Obesity on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raded Exercise Test in Female Sports Aerobic Athletes

홍상민, 엄혜선, 홍애림, 신윤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esity on maximal exercise capacity,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in female sports aerobic athletes during graded exercise tes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female athletes in sport aerobic athletes(4.29±1.14 year) were assigned to two groups: normal weight group(N=7, BMI: 20±1.32 , Body Fat: 20.37±2%) and obesity group(N=7, BMI: 25.09±2.5, Body Fat: 30.19±4.49%).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VO2max, HRmax, VEmax), cardiovascular responses(HR, SV, Q, TRP, BP), fatigue(RPE, LA), muscle activation(RF, VMO, VLO, BF, TA, MG, LG, SO)were measured and estimated.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HR, SV, Q, TRP, BP), fatigue(PRE, LA) and muscle activation except for RF and VMO during graded exercise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between two groups(p>.0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ed in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raded exercise test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ity group because of ongoing training of obese aerobic athletes. Consequently, obesity is not a factor of maximal cardiorespiratory fitness, cardiovascular responses, fatigue, and muscle activation in aerobic athletes.

한국어

[서론] 이 연구는 여자에어로빅 선수를 대상으로 점증적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비만이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에어로빅 선수경력이 3년 이상(4.29±1.14년)인 여자선수(20.71±2.4세) 14명을 BMI, Body Fat(%)를 기준으로 비만군(n=7)과 정상체중군(n=7)으로 분류하였으며, 점증적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심폐능력, 운동 중 심혈관반응, 피로도 및 근활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측정결과 최대심폐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p>.05), 운동 중 심혈관 반응으로 측정된 혈압, 심박수, 1회 박출량, 심박출량 및 말초혈관저항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피로도 반응과 하지의 근활성도는 대퇴직근과 내측광근을 제외하고는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결론] 비만군에서 일반체중군과의 최대심폐능력 및 운동 중 심혈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비만군의 지속적인 에어로빅 훈련을 통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에어로빅 선수의 경우에는 비만이 최대심폐능력과 운동 중 심혈관계 스트레스 반응 및 근활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나타낸 결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대상
  측정 항목 및 방법
 결과
  최대운동 시 심폐능력
  점증적 운동단계에 따른 심혈관 반응
  점증적 운동단계에 따른 피로도 반응
  점증적 운동단계에 따른 근활성도 반응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상민 Hong, Sang-Min. 동국대학교
  • 엄혜선 Uhm, Hye-Sun. 단국대학교
  • 홍애림 Hong, Ae-Lim. 단국대학교
  • 신윤아 Shin, Yun-A.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