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력관리

인플레터블 카약보트와 하드셀 카약보트 운행 시 동작수행력, 신체활동 및 운동피로도 비교 분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Motion Performance,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atigue Degree during Inflatable Kayak and Hard Shall Kayak Sailing

이용희, 강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otion performance,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atigue degree during semideveloped inflatable kayak(O-boat), imported hard shall kayak(K-boat), and existing inflatable kayak(F-boat) sailing. [METHOD] Eight elite university kayak athletes (8 male; 20.62±1.40yr; 176.37±6.56cm; 74.12±7.07kg)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forward stroke frequence, the lead time as indices of motion performance were measured.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by tri-axis motion accelerometer, and exercise fatigue was assessed by blood lactate. [RESULT] The forward stroke frequence and the lead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O-boat, K-boat and F-boat(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ch boat on the tri-axi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exercise fatigue degre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t differences between O-boat and K-boat on the motion performance. However, in respect of the stability, it was shown a trend that O-boat has stability lower than K-boat.

한국어

[서론]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개발 중인 W사의 인플레터블 카약 O-boat와 현재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Hobie사의 플라스틱 카약 K-boat 그리고 국내 기존 인플레터블 카약 제품인 F-boat 운행 시 동작수행력, 신체활동 및 운동피로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8명의 카약선수(20.62±1.40yr, 176.37±6.56cm, 74.12±7.07kg)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작수행력은 200m직진 구간 운행 시 전방 스트로크 빈도와 보트 도착시간을 측정하였다. 신체활동은 3축 가속계를 사용하여 인체 3축에서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운동피로도의 지표로서 혈중 젖산을 측정하였다. [결과] O-boat와 K-boat는 F-boat와 비교하여 전방 스트로크 빈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O-boat와 K-boat가 F-boat와 비교하여 도착시간도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리고 O-boat는 수입 K-boat와 동작수행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축 신체활동과 운동피로도에서는 세 보트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개발 인플레터블 카약보트가 수입산 하드셀 카약 보트에 비해 동작수행력에서 크게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반면, 안정성 측면에서는 개발 인플레터블 카약이 하드셀 카약에 비해 안정성이 낮은 경향을 보여 추후 보트 개발에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대상
  실험설계
  측정도구 및 변인
  자료처리방법
 결과
  동작수행력 비교
  신체활동 비교
  운동피로도 비교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희 Lee, Yong-Hee. 상명대학교
  • 강서정 Kang, Suh-Jung. 상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