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력관리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체력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Rhythmic Exercise and Strengthening-aerobic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MVAS in Older Females

강현주, 김수빈, 이병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ythmic exercise and strengthening-aerobic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MVAS) in older females for 8 weeks. [METHO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a rhythmic group(RG, n=12), a strengthening-aerobic group(SAG, n=9) and a control group(CG, n=8). There were 47 older females of 72.39±5.5years. The RG executed 70minutes rhythmic program a day, two times per week for 8 weeks. The SAG included wrist and ankle weight sandbag for strengthening exercise mainly and bicycling for aerobic exercise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60minutes a day two or three times per week for 8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for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G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lower muscular endurance, upper flexibility(Right), DBP, and resting HR in older females. The SAG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upper muscular strength(left) in older females. In MVAS, the SAG had a positive effect on back pain.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the other categories of MVAS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hythmic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rengthening-aerobic exercise for improving the physical fitness of older females. We believed that developing of rhythmic exercise and strenghening-aerobic exercise together would be the most helpful program for older females in aging society.

한국어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체력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리듬운동군(n=12), 근력-유산소운동군(n=9), 통제군(n=8)으로 구분된 평균 72.39±5.5세의 29명 여성 노인들이다. 리듬운동군은 총 8주간, 주 2회, 일일 70분에 해당되는 리듬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력-유산소운동군은 8주간 주 2-3회, 근력운동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모래주머니와 체중을 이용하여 상하지 근력운동을 세트에 12-15회씩 2세트 일일 60분간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은 고정식자전거타기를 실시하였다.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과 프로그램 전후의 paired t-test와 집단 간 independence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수행시킨 결과, 리듬운동군은 하체 근지구력, 우측 상지 유연성, 이완기 혈압, 안정시 심박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근력-유산소운동군은 전신지구력, 좌 악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주관적 통증의 경우 근력-유산소운동군이 Back pain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다른 항목에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근력-유산소운동 프로그램보다는 리듬운동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전반적인 체력향상에 더 커다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산소성 중심의 리듬운동에 근력-유산소운동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고령화 사회에 여성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리듬운동 프로그램
  근력-유산소운동 프로그램
  측정 항목 및 방법
  연구 설계
  자료처리방법
 결과
  체력 및 혈관반응
  주관적 통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현주 Kang, Hyun-Joo. 순천향대학교
  • 김수빈 Kim, Soo-Bim. 상명대학교
  • 이병근 Lee, Byung-Kun. 상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