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529 A.D., Greek philosophy had came to an end, with the closing of the Platonic academy and with the sequent transmigration of the philosophers to Persia, but thereafter in Alexandria had philosophical activities continued over one hundred year. Philosophical activities in Alexandria which brought down a curtain with capture of the city by Arabic troops in A.D. 641 built the last phase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at same time became very significant changeover period to open the first page of the history of the medieval byzantine thought. It had carried out first of all by Olympiodoros and his disciples Elias, David, and Stephanos who had lead the Alexandrian school after Ammonius and were neoplatonic in their thought. The Alexandrian school of Neoplatonism which represented Greek philosophy in later antiquity devoted themselves to collect, arrange and reserve philosophical heritage from the brilliant history of the past. The philosophers made first a philosophical curriculum with collections of definitions inherited from 'divine'(theios) thinkers such as Pythagoras,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David's Prolegomena Philosophiae seems to be the most elaborate and systematic one among various introductory works to philosophy which had been published at that period. It can be convinced with some evidences that David came originally neither from Greece nor from Egypt, but from Armenia. The old armenian version of his book also exists. Some critics assumed that he probably is a christian due to his christian name as in cases of his colleagues Elias and Stephanus, but any certain evidences for that can not be found in his works. Recently some scholars pointed out a few concepts or phrases in his Prolegomena Philosophiae for proof of his christian belief. However, it is clear for us that David himself never would express any christian elements in his texts explicitly and kept an neutral position independent from any religious standpoints or expressions. Nevertheless, six definitions of philosophy appeared in his Prolegomena had been modified and transformed in christian way in the following history of Byzantine thought. Throughout medieval Byzantium, it exercised immense effect on philosophy and theology theoretically as well as on ascetic life practically. Definition collection of Doctrina Patrum and Dialectica of John Damascus are good examples which contain the collected or the christianly modified definitions of philosophy from the Alexandrian Prolegomenas such as Davids. These definitions of philosophy seem to be taught to students through school education of Byzantine empire. Furthermore, it had been applied not only to dogmatic works and hymn lyrics but also to regulations of monastery life and to culture in general. The etymological definition, 'love of wisdom' had been transformed into 'love to God' christianly in Dialectica of John as well as in works of Cappadocian Fathers, because God is according to them, true wisdom or wisdom itself. So to speak, philotheos becomes true philosophos. Two teleological definitions, melethe thanatou and homoiosis theo, also had been accepted by Byzantine christian thinkers or monks positively as important principles for pious life. Thus, philosophical ideas of the Alexandrian Neoplatonists such as David with those definitions penetrated whole history of Byzantine thought.
한국어
A.D. 529년 아카데미가 문을 닫고 소속 철학자들이 페르시아로 이주하면서 아테네에서의 고대헬라철학은 종국에 이르렀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는 그 후에도 백여 년이 넘는 세월동안 그러한 철학활동이 이뤄지고 있었다. 641년 아랍의 점령으로 막을 내린 이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철학활동은 고대헬라철학의 종결 판이면서 비잔틴중세의 시작을 여는 철학사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과도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백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이곳에서 이뤄진 철학활동은 Ammonios 이후 알렉산드리아학파를 이끌어가면서 신플라톤주의를 계승한 Olympiodoros와 그의 제자들인 Elias, David, 그리고 Stephanos등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사상적으로 신플라톤주의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후기고대에서의 헬라철학을 대변한 이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학파는 기나긴 철학사의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데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신적인(theios)’ 철학자들로 간주된 피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 그리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유래하는 철학에 대한 정의를 중심으로 철학 커리큘럼을 만들고 Prolegomena Philosophiae와 같은 철학입문서 내지 교과서를 집필을 하는데 주력했다. 이 시기에 나온 여러 가지 철학입문서가운데 다비드의 것이 가장 정교하고 체계적이며 완성도가 높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증거들을 보아 본래 아르메니아출신인 이 다비드는 그의 선임자들인 엘리아스 및 스테파노스와 더불어 그 이름으로 인해 기독교인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그의 글에서 기독교적인 흔적을 찾기는 어렵다. 근년의 학자들 가운데는 다비드의 텍스트에서 어떤 기독교적인 흔적이 있는지 살피는 중에 그의 텍스트에서 발견된 사용된 일부의 개념을 지적하기도 한다. 우리에게 분명한 것은 다비드 자신은 그의 글에서 기독교적인 것을 명시적으로 표명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또 동시에 이교적 신에 대한 전래적인 숭배나 기도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철학입문서를 집필함에 있어 철저히 종교중립내지는 종교불관여의 입장을 표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철학입문서에 나타난 기술된 여섯 가지 철학의 정의(定義)들은 이어져 오는 중세 비잔틴사상사에서 기독교적으로 수정되고 변화되어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신학과 철학은 물론 수도적 삶을 통해 이론과 실천 양 측면에서 큰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8세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편집된 것으로 보이는 Doctrina Patrum의 Definitionensammlung(정의집)은 물론 John Damascus의 Dialectica 등은 다비드의 저작을 중심으로 한 이 후기고대의 철학개념 정의들이 수집되거나 기독교적으로 변의되어 사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들이다. 그리고 비잔틴제국의 학교교육을 통하여 이러한 철학의 정의는 줄곧 교육되어왔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단순히 철학이라고 불리어지는 협의의 영역에서만 아니라 교의학과 같은 신학의 작업에서나 심지어 찬양가사로도 사용되었고, 수도생활과 같은 실천적 삶에서의 지침으로도 활용되어 단순히 정의나 인식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문화전반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여섯 가지 정의 가운데 어원적인 정의인 ‘지혜에 대한 사랑’은 갑바도기아의 신학자들이나 다마스쿠스의 경우에서 잘 보이듯이 참 지혜이시고 모든 지혜의 근원이신 ‘하나님에 대한 사랑’으로 의미의 기독교적 해석 내지 변용이 이뤄졌다. 말하자면 philosophos가 진정한 philotheos가 되는 것이었다. 그것들과 반대로 목적을 가지고 철학을 정의한 ‘죽음의 연습’과 ‘하나님에게의 동화’는 비잔틴기독교사상가내지 수도자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물론 다비드가 본래 뜻하고자 한 ‘죽음의 연습’은 같은 개념인 ‘μελέτη’를 사용했다고 할지라도 그들에 의해 ‘죽음에의 명상 내지 준비’ 라는 의미로 확장내지 변의(變意)되어 시용되었다. 그리고 ‘하나님에게의 동화’도 플라톤이 본래 Theaithetos에서 말한 의도와 달리 다비드에게서 잘 보이는 바대로 ‘인간적으로 (할 수 있는 한)’란 말이 강화 고착되어 사용되었다. 이렇게 철학의 정의와 더불어 다비드 등을 위시한 후기고대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 학자들의 학문과 사상은 비잔틴의 전 사상사를 관통하여 흐른다.
목차
1. 헬라철학의 마지막 단계
2. 후기고대 알렉산드리아학파의 정체성
3. David와 그의 철학적 작업
4. Prolegomena Philosophiae에 나타난 철학의 여섯 가지 정의들
5. David의 철학정의론의 비잔틴영향사
6. 철학정의의 기독교적 변용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