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ypes of Convergence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a Comparison of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 Centering on Korean and Japanese Examples -

서수미, 이준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vergence in Japan's facilities has the fundamental meaning that the facilities are intended to deal with problems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rapid informatization, globalism, low birth rate, and ageing in cities and improve the urban context and national competitive power. Convergence in Korea's facilities also has the intent to recover the culture of a community which has weakened due to the dispersed arrangement of supplier-oriented public facilities, the individualized life style, and the closed housing culture where anonymity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nvergence by speculating on the concept of moder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types of convergence in them throug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unity support center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community support centers whose names and planning concepts were for community support or convergence and only those which were actually completed. Among the books on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when the term 'convergence' appeared, this study focused on a monthly magazine called 'CONCEPT' in Korea and an architectural magazine from Japan called 'New Architecture.' I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current convergence types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cases focusing on convergence types in Korean and Japanese center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a partial community, bodies of associations, a network-type community, an open community, and a public community according to the living zones and convergence types of public centers as a center of public administration facilities was analysed. The convergence types include overlapping of the same kind of facility, a combination of the single function type with the combined same function type, and different facility convergence types where different functions are converg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here spatial composition is made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interrelatedness, free movement, user-oriented plans, the variability of space, and the use of color. Through comparison, it was discovered that Korean centers showed the initial phenomenon of convergence while Japanese centers presented modern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onvergence of different centers. In spatial characteristics, ‘interrelatedness’ was related with ‘variability of space’, an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ases, users introduced the open space actively to create communication and flow in a light interio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esent further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national centers.

한국어

일본의 복합화 시설들은 도시에서 급속한 정보화, 국제화,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인식하고 도시적 맥락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 기본적인 의의가 있다. 한국 역시 공급자 위주의 공공시설 분산배치와 익명성이 강조되어 닫혀진 주거문화 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약해진 지역공동체 문화를 회복하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커뮤니티지원센터의 특성과 비교를 통하여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사례 내용 중 시설명과 시설의 계획개념이 커뮤니티지원센터 혹은 복합화라고 칭하며 실제 완공되어진 커뮤니티지원센터들로 한정하며, 복합화라는 용어의 등장이 나타나기 시작한 2000년 이후에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국내사례들은 현장답사를 병행한다. 국내사례는 월간현대건축(CONCEPT), 일본의 사례는 건축전문지인 신건축(新建築)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내용에 대한 방법적 절차로는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의 개념과 복합화 현황을 파악한 다음 한국과 일본의 복합화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로는 현대의 커뮤니티의 특성은 부분적 커뮤니티, 결사체적 커뮤니티, 네트워크형 커뮤니티, 개방적 커뮤니티, 공적 커뮤니티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생활권 단위로 분류하여 도심의 공공행정 시설 중심인 주민자치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분석하였다. 복합화의 유형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진 단독형과 동일한 기능의 복합인 동종시설 중복형, 서로 다른 기능의 복합인 이종시설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자인 특성으로는 지역 환경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구성, 상호관계성, 자유로운 동선, 사용자 중심의 계획, 공간의 가변성, 색채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로는 한국의 커뮤니티지원센터는 시설간의 복합화 초기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은 서로 다른 커뮤니티지원센터간의 복합화를 통해 조금 더 다양한 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의 디자인특성으로는 ‘상호관계성’과 ‘공간의 가변성’이 서로 연관되어 함께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 모두 사용자들의 커뮤니티활성화와 부족한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오픈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커뮤니티의 개념 변화
  2.2. 커뮤니티의 공간적 범위
  2.3. 커뮤니티지원센터의 개념
  2.4.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관계
 3. 커뮤니티지원센터의 유형과 공간 디자인 특성
  3.1. 커뮤니티지원센터의 현황
  3.2.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
  3.3. 커뮤니티지원센터에 나타난 공간공간의 디자인특성
 4. 사례분석
  4.1. 개요
  4.2. 사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수미 Seo Su Mi.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박사
  • 이준민 Lee Joon Min. 상명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