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자폐아 미술교사의 삶에 대한 문화기술지

원문정보

Ethnography on the Lives of Art Teachers for Autistic Children

진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studied qualitatively what daily lives of art teachers who teach autistic children influence them in elementary school. Thre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ethnographic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the collection of class data, etc. The participants were regarded as angels, but also viewed to have made poor career choices due to widespread prejudice. In the early stages, they undertook their work with fear because they became distressed when they observed there exceptional children being rejected by parents, schools, teachers, and friends. Additionally, they encountered barriers that stem from the conglomeration of the problems of bullying, harassment, negligence, and poor learning, which are often not exposed but remain hidden. This is despite the positive effects demonstrated by the integration of the children into the general education system. However, general teachers and special-education teachers often do not understand each other. The research participants embrace autistic children, confirming their confidence and positive social role. They acknowledge difference and deficiency in autistic children, and they accept the problems that appeared.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sought to treat children with them as humans that are equivalent to themselves. While going through what was a hard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dismissed the concerns regarding exceptional children and art education. They feel they have become more considerate and warm as teachers, and they are happy to listen to the autistic children and take care of them. Furthermore,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realized that art is valuable and precious in their own lives, as well as being fruitful in helping autistic children, who look forward to art class and are being immersed in artwork.

한국어

이 연구는 자폐아를 가르치는 미술교사들의 일상과 삶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질적 연 구하였다. 세 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심층면담, 참여관찰, 수업자료의 수집 등을 통해 문화기 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세상이 씌운 선입견에 의해 날개 없는 천사 혹은 모자란 사 람이 되어있었고 초기에는 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시작하고 있었다. 때로는 특수아동들이 부모나 학교, 교사, 또래 친구들로부터 거부당하는 것을 바라보며 자신의 일처럼 마음 아파하였다. 또 일반아와 특수아의 통합교육에서 드러나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드러나지 않고 감추어진 여러 문 제(따돌림, 괴롭힘, 방치, 학습부진 등)들 때문에 한계에 부딪히고 함께 고통 받고 있었다. 그럼에도 일 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은 서로 간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 서로를 이해해 가고 있었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 은 장애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신뢰와 긍정과 같은 특별한 교감을 가지고 장애아를 받아들이고 있었 다. 그리고 장애아에 대한 사람들의 차별과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그대 로를 마음 비우고 받아들였다. 그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자폐아들을 자신과 동등한 인격체로 받아들 이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이토록 힘겨운 과정을 능히 견뎌가며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아와 미술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내고 다름과 결핍에 귀 기울일 줄 아는 더 사려 깊고 더 따듯한 교사가 되어 가고 있었다. 또 미술시간을 기다리고 작업에 특별하게 더 잘 몰입하며 행복해 하는 자폐아들을 지원하는 보 람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이 오히려 더 자신의 삶에 가치 있고 소중함을 깨닫고 있었다.

목차

요약
 들어가며
 연구방법 및 절차
  문화 기술지
  연구절차
 선입견을 씌우다
  날개 없는 천사 , 모자란 사람
  막연한 두려움
  장애의 부정
 거부하고 보다
  암묵적 배제
  존재의 부정
  드러나고, 감추어진 것
 긴밀하게 조율하다
  조율과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관계
  부모의 두 마음
  어려운 미술수업
 마음으로 받아들이다
  특별한 교감
  몰입하는 아동들을 통한 극복
  차별과 차이의 인정
  그대로 드러내기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정선 Jung-Sun Jin.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