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조선 초기 죽간자의 기록유형

원문정보

Records on Jukganja in the Early Joseon Period

손선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ukganja(竹竿子) not only indicates a ceremony item used in dangakjungjae but also the dancers who hold it during the performance. When court jungjae is divided into 3 parts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the jukganja appear only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Their appearances and roles are limited and their roles are recorded briefly as mujin and mutwa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types of description for the jukganja that appear in Akhakguebe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jukganja appear and exit both in the introduction and in the conclusion to call the signals and after the signal, two dancers move along side by side. Second, the position where they call the signals is in the north. In the case of jungjae for which mugu is used, they position themselves either on the both sides of the dancers or to the south of mugu. Third, the position that the jukganja retreat to after they call the signals both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s outside hyeopmu. Forth, when the jukganja advance to call the signals and retreat after the signal, they move between the dancers. Fifth, in the conclusion part the jukganja proceed in two steps of mujin. In the first step, they do mujin to make a pause in front of the dancers just before calling the exit signal, and in the second step they advance to actually call it. Sixth, when the jukganja do mujin to call the signal and retreat after that, the dancers do mujin and mutaw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records on the jukganja in Akhakguebeom,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edings of mujin and mutwae according to different versions of jungjae. However, most of them share in common that the jukganja do mujin to call the signal and then retreat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and that they do mujin and mutwae to the north and south. It is found through the study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eding betwee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and that the jukganja proceed in five separate steps, mujin(calling the signal) -mutwae -step 1 mujin -step 2 mujin (calling the signal) -mutwa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을 조선 초기 죽간자(竹竿子)의 기록유형을 살피기 위하여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살폈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죽간자가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구호를 부르기 위해 혹은 구호를 부른 다음 물 러날 때에는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이동하였다. 둘째,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는 위치는 북쪽이었으며, 무구를 사용한 정재에서는 무구 의 양옆 혹은 무구의 남쪽이었다. 셋째, 도입부와 종결부 모두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고 물러난 다음 서는 위치는 협무 바깥쪽이었다. 넷째, 죽간자가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구호를 부르기 위해 혹은 구호를 부른 다음 물 러날 때에는 무원들 사이로 이동하였다. 다섯째, 종결부의 죽간자 무진은 2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무 진(1)은 춤을 마친 다음 죽간자가 퇴구호를 부르기 전 무원들 앞에 잠깐 서기 위해 무진하는 것이고, 무진(2)는 죽간자가 실제로 퇴구호를 부르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여섯째,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기 위해 무진할 때와 구호를 부른 다음 물러날 때 무원 들이 무진․무퇴를 동시에 하였다. 이상과 같이 󰡔악학궤범󰡕에 기록된 당악정재 14종과 향악정재인 <봉래의>의 죽간자 의 내용을 살폈을 때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정재마다 무진․무 퇴의 진행이 상이하였지만 도입부와 종결부에 죽간자가 무진하여 구호를 부르고 무퇴하 는 것이 같았고 북쪽과 남쪽으로 무진과 무퇴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정재의 공통된 기록 이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입부와 종결부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 고, 죽간자의 전체 진행이 ‘무진(구호) - 무퇴 - 무진(1) - 무진(2: 구호) - 무퇴’등 5단 계로 구분하여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 초기 죽간자의 기록내용
 3. 조선 초기 죽간자의 기록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선숙 Son, Seon-suk. 한국춤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