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죽광대 놀이의 극본복원을 위한 고찰

원문정보

The study of Chukkwangdae play and its contents restoration

최흥기, 한경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kkwangdae who perform korean mask dances(Talchum) and Shotdaetagi(a kind of performance on the string) are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disappeared since 1925. As they are residents living in Dohwagol, Ulsan, they worship Ulsanseonangdang bride doll and are professional play group who are performing a play, wandering Young-nam district. The contents of their play were recorded by a folklorist Song seok-hwa's O-kwangdaesogo. He defined Chukkwangdae as play group performing circus and masque. The contents of their play were revealed by A folklorist, Choi sang-soo. Chukkwangdae play consisted of two plays, which are scene 6 of circus and scene 6 of mask dance. Scene 1 of circus is about Ulsanseonangdang bride doll, scene 2 Deongkwang, scene 3 Maegiak, scene 4 Mudong, scene 5 Jukbangul, scene 6 Shotdaetagi and scene 1 of mask dance is about Obangsinjangmu, scene 2 Nojang, scene 3 Yangban, scene 4 Youngno, scene 5 Halmi, scene 6 Sajamu. The specfic contents of the play were restored by the record of Choi sang-soo who said to keep its original form well was Masan's play, the specfic contents of the circus was made by the record of Choi sang-soo, too. Especially, Chukkwangdae play is that Shotdaetagi is main performance in circus, and the shape of Shotdaetagi appeared in altar portrait of Buddha of several temples of Youngnam district. This picture of the temple will be used for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s valuable data. Chukkwangdae play was restored by this materials. The contents are Chukkwangdae circus in chapter 1 and Chukkwangdae mask dance in chapter 2.

한국어

탈춤과 솟대타기를 하는 죽광대는 약 1925년 이후로 사라진 한국의 전통연희문화이 다. 그들은 울산 도화골에서 거주하는 동민으로써 그 지역의 서낭당 신격인 ‘울산서낭당 각시인형’을 모시고 영남권 지역을 유랑하며 공연한 전문연희단체이다. 그들의 연희 내용은 민속학자 송석하에 의해 󰡔오광대소고(五廣大小考)󰡕에서 기록되 었는데 죽광대는 곡예하며 가면극을 부속으로 하는 연희 단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민 속학자 최상수에 의해 연희 내용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는데 이에 대한 기록을 이 논지에 서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죽광대놀이는 곡예 마당에서 6과장과 탈놀이 마당에서 6과장으로 총 두 마당에 열두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예마당은 1과장 울산서낭당각시인형 출현과장, 2과장 등광 과장, 3과장 매귀악과장, 4과장 무동과장, 5과장 죽방울과장, 6과장 솟대과장이며, 탈 놀이마당은 1과장으로 오방신장무과장, 2과장 노장과장, 3과장 양반과장, 4과장 영노 과장, 5과장 할미과장, 6 과장 사자무과장이다. 극본의 구체적인 내용은 최상수의 기록인 “비교 결과 가장 충실히 그 원형을 보존한 것은 마산(馬山) 것이요”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탈놀이 부분이 복원되었고, 곡예마당 도 역시 최상수의 기록에 의해 구체적으로 연희의 극본이 만들어 졌다. 특히 죽광대놀이 는 곡예부분에서 ‘솟대타기’가 주 종목이며, 이 솟대 타기의 형상은 영남권의 여러 사찰 에서 괘불탱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사찰의 그림은 형상을 복원하는데 보다 귀중한 자 료로 이용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죽광대 놀이의 ‘죽광대 곡예마당’․‘죽광대 가면극마당’의 극본 을 구체적으로 복원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죽광대놀이의 자료 분석
 3. 죽광대놀이의 극본 복원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흥기 Choi, Heung-Kee. 강원대학교 대학원
  • 한경자 Han, Kyung-Ja. 강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