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박병천류 지전춤의 특성 고찰 -박병천과의 면담 녹취기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search of Park Byeon cheon-style Jijeonchoom's characteristics

염현주, 서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rk Byeongcheon-style Jijeonchoom is choreography that the late Park Byeong cheon(1933~2007) made the Jijeonchoom independently from Sikimgut(Jindo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into a process of independent work while performing it on the stage. He instructed this dancing to many followers and not only made them continue to perform on the stage but also performed the dance oversea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ark Byeong cheon-style Jijeonchoom were organized before he died based on the tape recorded nearly a month and the DVD recorded twelve months while struggling against diseases. He had worried about the existing studies attaching unreasonable meanings and definition to the Jijeonchoom movement. He mentioned this study as a will so that the meaning of the dancing should no longer be misunderst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Park Byeong cheon-style Jijeonchoom is what the display of dancing handed down in his family's ancestery which was famous for Sikimgut is gathered and formed. Second, the name of the display of the Jijeonchoom is given after seeing the paper money or female shaman’s movement. Third, many symbolisms and meanings added to the display of the dance are only definition of the name of the dancing as the name was formed,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connections or history of the display of the dance. Fourth, the rhythm of the Jijeonchoom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shaman houses, but the combination of Cheooligi, Olimchae, Dasleum is the framework used only in Park Byeong cheon family's ancestery, and the display of the dance using this rhythm i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ark Byeong cheon-style Jijeonchoo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Park Byeong cheon-style Jijeonchoom are that the display of the dance inherited in his family's ancestery is recomposed and choreographed, and he made it clear that it is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ique combination of rhythms. He wanted that as a name of the displays of the dance were arranged as ways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dance movement, they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Sikimgut(the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rather than attaching over definition to them. Afterward, he made it clear to guard against further study excess defini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박병천류 지전춤이 그의 무가(巫家) 집안에서 형성된 춤의 특성을 갖고 있 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박병천류 지전춤은 故박병천(1933~2007년) 선생이 진도씻김굿 속에 있는 지전춤 을 따로 독립시켜 무대화작업을 하면서 하나의 독립 작품으로 안무한 것이다. 그는 많은 후학들에게 이 춤을 지도했으며, 계속적으로 무대 위에서 공연하도록 함은 물론, 해외에 서도 씻김굿과는 별도의 독립 작품으로 공연했다. 본고에서는 그가 작고하기 약 1달 전 에 남긴 녹취기록과 1년 2개월여 전, 병마와 싸우는 가운데 녹화해 둔 DVD를 중심으로 박병천류 지전춤의 특성을 정리했다. 기존 연구에서 지전춤 동작에 대한 의미와 해석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한 점에 대해 그는 더 이상의 와전을 염려하여 유언을 통해 본 연구를 당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무대화된 박병천류 지전춤은 진도씻김굿 명가인 그의 집안에서 전승된 춤사위를 집성한 것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지전춤 춤사위의 명칭은 지전 또는 무녀의 움직임을 보고, 이후에 부쳐진 것이다. 셋째, 춤사위에 부쳐진 많은 상징성과 의 미 역시 명칭이 생기면서 그 명칭에 붙인 해석일 뿐 춤사위와의 연계성이나 역사성과는 무관하다. 넷째, 지전춤의 장단은 무가의 가계마다 조금씩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데 쳐올 리기․올림채․다스름의 장단 조합은 박병천 가계에서만 사용되던 기본 틀로써 이 장 단을 사용하는 지전춤 춤사위가 박병천류 지전춤의 중요 특징이다. 이상의 결과로써 박병천이 강조한 박병천류 지전춤의 특성은 자신의 집안에서 세습된 춤사위를 재구성․안무한 점에 있으며, 또 가계에서 전승한 독자적 장단 조합의 특성을 갖춘 것임을 분명히 했다. 춤사위 명칭이란 동작의 외형을 표현하기 위해 방편으로써 정 리된 이름이기 때문에 이를 지나치게 해석하기 보다는 씻김굿 의식의 일환으로 이해해 주기를 바랬다. 이후 논술자들의 지나친 해석에 대한 경계를 분명히 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박병천류 지전 춤 형성 배경
 3. 박병천류 지전춤의 특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염현주 Youm, Hyun-ju. 세한대학교 전통연희학과 교수
  • 서숙희 Suh, Suk-hee. 동덕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