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 1

사물인터넷(IoT/M2M) 표준화 동향

초록

한국어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인터넷은 1세대 유선 인터넷, 2세대 모바일 인터넷 시대를 거쳐 3 세대 사물인터넷(IoT/M2M) 시대로 진화를 시작 중이다. 사물인터넷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 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소통하 는 지능형 인프라라 정의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의 주요서비스로는 스마트홈, 스마트카, 헬스케 어, 원격검침 등이 있다. 최근에 들어서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에서 적극 적으로 추진하게 된 배경으로는 휴대폰 포화, 탈 통신, 솔루션 시장 성장 등의 통신사업 환경 변 화와 Korea Smart Grid 2030 같은 Green ICT 정책 추진과 사회 안전 망 수요 증대를 들 수 있 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이 전세계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하여, ITU-T, ISO 같은 국 제 표준화 기구뿐만 아니라 3GPP, ETSI, IEEE, oneM2M, IETF 등 다양한 사실 표준화 기구에 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표준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TTA 사물지능통신 프로젝트 그룹 (PG 708)과 M2M/IoT 포럼에서 국내 표준을 개발 중에 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 사회를 한마디로 예상하기는 어렵지만, 21세기 미래 디지털 사회 인프라로 사물인터넷이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본 원고에서는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함께 각 표준화 기 구에서 진행중인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사물인터넷 개념 및 주요 기술
 3.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현황
  3.1 ITU-T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3.2 ISO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4. 사실 표준화 기구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현황
  4.1 3GPP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4.2 oneM2M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4.3 IETF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4.4 IEEE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5. 국내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현황
 6. 표준화 이슈 및 전략
  6.1 무수히 많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수용을 위한 식별체계
  6.2 다양한 IoT/M2M 디바이스 연동을 위한 Light-weight 인터넷 연결
  6.3 Device to Device(D2D) 접속 통신
 7. Conclusions
 Acknowledg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홍용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신명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