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mmon Measurements of Timber Construction of Traditional House in Chon-nam District - Focused on the “ㅡ” Shaped Plan Type, Hotjip of Anchae -
전남지방 전통주택 가구구성의 공통치수에 관한 연구 - "ㅡ"자형 평면의 안채, 홑집을 중심으로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basic data of architectural desig of Hanok systematically by taking out the common measurements of timber construction intended for Hotjip of Anchae from traditional house of “一” shaped plan type that is observed well in the Chon-nam district. The common measurements means that does inclination to a common target with a plural case. By means calculate the mean value fundamentally to take out the common measurements. And it is able to reconfirm that the mean value is a by comparing the mean value and medium value and mode. As a result of the survey as for the measurements of each part, most mean value and medium value and mode agree. It is confirmed that most of the mean value are the measurements, in other words, a that do inclination to a common target with a plural case. A part that does not agree with the mean value is the depth of Toikan of plan and be the height of Zusimdori of vertical section and be the width of Zongryang and the height and width of Chunye of thickness of members. The common measurements that was taken out is Table 1 and Table 2 concretely and be Figure 1 and Figure 2 when it shows it with the figure. And it understood that Bo-seong Leeyonguk houses are the nearest timber construction in the common measurements.
한국어
본고에서는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치수 곧 공통치수의 도출을 통해서, 남도일자형 평면의 전통주택(안채) 홑집을 대상으로, 가구구성에 관한 기초적인 설계자료를 체계적으로 작성해 보고자 하였다. 공통치수는 기본적으로 평균값에 의하였고, 중앙값, 최빈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재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각 치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앙값, 최빈값이 평균값과 일치 또는 유사한 값을 보인다. 즉 평균값 대부분이 다수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치수임이 재확인된다. 중앙값, 최빈값과 일치하지 않는 일부의 부위/부재는, 사례수가 적은 대량을 별개로 한다면, 평면에서 퇴칸, 단면에서 주심도리고, 부재굵기에서 종량의 너비, 추녀의 너비와 춤 등이다. 공통치수의 상세는 표.7, 표.8, 표.9 등과 그림.7, 그림.8, 그림.9 등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이들 치수 하나하나는 전체의 일부일 때 의미가 있지만, 주요치수를 들어보면, 정면칸은 평균 8.5척으로, 부엌이 가장 넓은 9.1척이고 대청이 가장 좁은 8.1척이며, 측면의 중앙칸은 9.0척, 퇴칸은 4.0척으로 나타난다. 단면치수에서는 평주고(길이)가 바닥고와 주심도리고를 합하여 대략 8.7척 정도를 나타나며, 첨출장 3.7척을 제외한 축부만의 전폭은 17.1척이고, 변작법(변작지수:2.3)은 5분변작 보다는 4분변작에 가깝고, 전체물매(전체)는 4치3푼을 나타낸다. 부재굵기는 장혀가 0.30 * 0.45(척), 평주(또는 고주)가 한 변 0.66척, 도리는 0.56 * 0.59(척) 등이고 서까래 직경은 0.45척으로 장혀의 춤과 유사하다. 한편, 조사대상 중에서 평면, 단면, 부재굵기의 세 부문에서 공히 공통치수와 유사한 치수를 보이는 사례는 발견할 수 없다. 평면치수와 부재의 춤에서 공통치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는 이용욱 가옥이 가장 유사한 사에 해당한다. 나머지 사례는 모두 부분적으로 공통치수와 유사성을 보인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방법
1.3 대상과 범위
2. 조사대상의 검토
2.1 홑집
2.2 사례의 확정
3. 공통치수의 도출
3.1 평면의 공통치수
3.2 단면의 공통치수
3.3 부재 굵기의 공통치수
4. 공통치수의 종합
4.1 공통치수
4.2 유사사례
5. 결론
참고문헌